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는 좋은데···연간 적자 100억원 이상?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는 좋은데···연간 적자 100억원 이상?

등록 2017.11.13 11:07

전규식

  기자

공유

강원도 정선 알파인경기장 전경 (사진 = 연합뉴스 제공)강원도 정선 알파인경기장 전경 (사진 = 연합뉴스 제공)

강원도가 2018평창동계올림픽 이후 관리해야 하는 7개 경기장 운영에 연간 100억원이 넘는 적자가 발생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13일 강원도 행정감사자료에 따르면 보조경기장을 포함한 13개 경기장 중 도가 관리해야 하는 7개 시설 운영수지 분석결과 연간 101억3100만원의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적자가 가장 큰 시설은 정선 알파인경기장으로 연 36억8200만원이다. 운영비용은 106억8200만원이지만 운영수익은 70억원이기 때문이다.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은 32억5400만원 운영비용에 운영수익은 10억원으로 연 22억5400만원, 강릉하키센터는 28억300만원 운영비용에 운영수익은 6억6000만원으로 연 21억4300백만원 적자가 예상된다.

강원도개발공사가 운영하는 스키점프,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3개 시설 적자액은 11억4300만원,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예상 적자액은 9억900만원이다.

스피드스케이팅, 강릉하키, 슬라이딩센터, 스키점프 등 전문체육시설은 일반인 활용이 어려워 운영적자가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도는 국민체육진흥법 개정, 동계올림픽 특별법 개정을 통해 사후관리 방안을 해결할 계획이다. 전문체육시설인 스피드스케이팅, 강릉하키센터, 슬라이딩센터, 스키점프 등 4개 시설을 국가가 관리할 수 있도록 국민체육진흥법을 개정한다는 것이다.

관리주체가 이미 확정된 시설의 소유권 이전을 골자로 한 동계올림픽 특별법 개정도 추진된다. 대학 내에 설치했거나 관리주체를 확정한 관동하키센터, 쇼트트랙 보조경기장, 슬라이딩센터가 대상이다.

강원도 관계자는 “사후관리 방안이 늦어도 연말까지는 확정될 수 있도록 도 정치권 등과 협조, 관련 예산 확보와 법안 개정이 이뤄져 국가 차원 관리를 추진하고 나머지 시설은 민간투자유치 등 다각적 사후활용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전규식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