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손보업계 車보험 손해율 개선에 방긋···보험 소비자는 눈물

손보업계 車보험 손해율 개선에 방긋···보험 소비자는 눈물

등록 2017.06.23 09:57

전규식

  기자

공유

손해율 평균 7% 감소···보험료는 요지부동시민단체 “손보사 잇속챙기기 도 넘었다”車손해율 등락따라 보험료 이중잣대 지적

사진 = 픽사베이 제공사진 = 픽사베이 제공

손해보험업계가 지난 1분기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평균 7%포인트 줄면서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00억원 가량 늘었지만 보험료 인하에는 부정적인 입장이다. 이에 따라 보험사들이 자기 밥그릇만 챙기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손보업계 자동차보험 평균 손해율은 81%로 지난해 말의 88%보다 7%포인트 줄었다.

업계 빅3 중 삼성화재는 76.4%를 기록해 지난해 말보다 4.5%포인트 줄어 업계에서 가장 낮은 손해율을 기록했다. 동부화재, 현대해상은 각각 77.5%, 77.8%로 지난해 말보다 각각 4.1%포인트, 4%포인트 감소했다.

손해율이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손보사는 MG손해보험으로 79.3%를 기록해 지난해 말의 96.8%보다 17.5%포인트 줄었다.

이처럼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줄면서 손보사들의 지난 1분기 영업이익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손보업계의 지난 1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202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72억원(32.8%) 늘었다.

특히 자동차보험은 손익이 1490억원 증가했다. 보험사의 매출을 의미하는 수입보험료의 증가율은 7.5%를 기록해서 전체 상품 수입보험료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보업계는 자동차보험료 인하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본래 연초에는 자동차 운행량이 줄어서 손해율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며 “외제차 가입자의 사고 발생 시 국산차로 렌트해주도록 제도가 개선된 이후 손해율이 낮아지고는 있지만 아직은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할 때”라고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선 그럼에도 손보사들이 자동차보험료 인하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보험료를 인상할 때는 높은 손해율을 이유로 올리기 때문에 손해율이 낮아졌을 땐 그만큼 보험료를 내리는 것이 합당하다는 것이다.

오세헌 금융소비자원 보험국장은 “보험사들이 보험자율화 제도 시행 이후 보험료를 인상할 땐 높은 손해율을 핑계로 인상하면서 손해율이 낮아졌을 땐 다른 이유를 갖다 대면서 보험료를 인하하지 않는 건 합리적이지 않다”며 “금융당국이 보험사들에 대해 보험료 인하 가능 요인이 나타났을 때 합리적인 선에서 가격 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감독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전규식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