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작년 소득교역조건지수 상승폭 5년來 최고···저유가 영향

작년 소득교역조건지수 상승폭 5년來 최고···저유가 영향

등록 2016.01.25 12:49

박종준

  기자

공유

소득교역지수 134. 71기록 전년동기대비 14% 상승

작년 소득교역조건지수 상승폭 5년來 최고···저유가 영향 기사의 사진


저유가 영향으로 소득교역조건지수가 지난해 5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5년 12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를 보면 지난해 소득교역조건지수는 134.71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동기에 비해 14% 상승한 것으로 지난 2010년 16.2% 증가한 이후 최대폭이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수출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지수화한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소득교역조건지수 급격히 호전된 이유는 저유가 영향으로 수입가격이 크게 낮아진 게 결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작년 수입금액지수는 102.69로 나타나 전년동기에 비해 -17.6%를 나타냈다. 이는 지난 2009년 26.2% 급락한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세다. 이 역시 최근 국제유가 급락 탓이다.

실제로 두바이유의 지난해 평균 가격은 배럴당 50.69달러를 기록해 지난 2014년 96.56달러에 비해 47.5%나 떨어졌다.

지난해 수출금액지수는 전년동기대비 9% 하락한 115.67로 나타났다. 이 역시 2009년 16% 하락한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수치다. 석탄 및 석유, 화학제품, 제1차 금속 품목의 가격이 하락한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지난해 순상품교역지수는 99.97로, 역대 최대 상승폭인 11.2%를 나타냈다.

여기에 지난해 12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전년동월에 비해 8% 올랐다. 이는 수출가격이 -11.8%를 나타낸데 반해 수입가격은 -18.3%로 더 떨어진 탓이다.

한편 지난해 12월 수출물량지수는 화학제품,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이 늘었으나 전기 및 전자기기, 수송장비 등이 줄어 전년동월대비 1.3% 하락했다.

이 기간 수입물량지수는 광산품, 수송장비 등이 늘었으나 전기 및 전자기기, 일반기계 등이 줄어 전년동월대비 2.0% 떨어졌다.

박종준 기자 junpark@

뉴스웨이 박종준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