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2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철근 KS 글로벌 수준 이상으로 품질기준 강화

철근 KS 글로벌 수준 이상으로 품질기준 강화

등록 2015.10.05 11:00

이승재

  기자

공유

국표원, 2일 철근 국가표준개정안 2개월 동안 예고고시

나사철근 시공시의 차이점.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제공나사철근 시공시의 차이점.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정부가 일반철근의 안전품질을 국제수준으로 높이기 위해 철근콘크리트용 봉강 국가표준(KSD 3504)을 강화 개정한다.

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국가기술표준원은 2일 철근 국가표준개정안을 2개월동안 예고고시했다. 철근 생산자, 시공사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해 내년 1월에 개정 고시한다는 방침이다.

철근 국가표준(KSD 3504)의 주요 개정내용으로 우선 철근에 불순물로 들어 있는 인(P), 황(S)의 최대허용값을 기존 0.050%에서 0.040%로 낮춘다. 항복강도 상한값도 설정해 취성파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정성 강화에도 나선다.

고층건물에도 띠철근으로 내진보강을 하지 않더라도 내진설계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항복강도가 600N/㎟ 이상인 고강도 특수내진철근(SK 600S) 기준을 세계 최초로 국가표준에 반영할 계획이다.

철근 마디가 나사선 형태로 돼 있어 시공 시 철근 연결을 쉽게 할 수 있는 나사철근 기준도 신설했다.

관계자는 이번 품질 기준 강화로 건물의 안정성이 강화될 뿐 아니라 시공비 절감으로 아파트의 실평수는 늘리고 분양가는 낮출 수 있다고 전했다.

기존 철근을 고강도 내진철근으로 바꿀 경우 철근 물량을 20% 줄일 수 있어서 6만호 기준으로 연간 126억원이 절감된다는 설명이다.

기후변화에 대비해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효과도 있다. 철근 1톤 생산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0.4톤이다. 고강도 철근을 사용할 경우 연간 40만호 적용 시 3만2000톤의 이산화탄소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강병구 국표원 표준정책국장은 “이번 철근 국가표준 개정은 건물의 수명을 연장하고 발생 빈도가 높아지는 지진에 대비해 안정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필요를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취성 파괴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붕괴 시 철근이 너무 강해서 콘크리트가 먼저 급속히 무너지는 현상. 철근이 항복(엿가락처럼 늘어남)하고 콘크리트가 천천히 부서져야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승재 기자 russa88@

뉴스웨이 이승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