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신동빈 “면세점 특혜 아냐···연말 시내면세점 입찰할 것”

[국감]신동빈 “면세점 특혜 아냐···연말 시내면세점 입찰할 것”

등록 2015.09.17 19:08

정혜인

  기자

공유

2015국감 정무위원회 신동빈 롯데그룹회장 일반증인출석.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2015국감 정무위원회 신동빈 롯데그룹회장 일반증인출석.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17일 오는 연말 특허가 만료되는 시내면세점 사업권 입찰에 도전하겠다고 말했다.

신 회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의 공정거래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연말 시내면세점 입찰에 다시 나설 것이냐”는 질문에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다.

롯데면세점은 연말 소공점(12월 22일), 월드점(12월 31일) 등 2개 매장의 사업권이 만료된다. 이번에 특허가 풀리는 소공점의 연매출이 2조원, 잠실 롯데월드점 연매출이 6000억원 등 모두 2조6000억원에 이르기 때문에 롯데는 기업의 사활을 걸고 영업권 수성에 나서야 한다.

그러나 롯데면세점은 2014년말 매출 기준으로 국내 면세점 시장 점유율이 53.4%에 이른다는 이유로 ‘독과점’ 논란에 시달리고 있는 데다가 롯데그룹 오너 가(家)의 경영권 다툼으로 ‘특혜’ 문제가 불거진 상황이다.

이날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신 회장에게 “현재 시내면세점 60%를 롯데가 다 장악하고 있는데 여러 특혜를 받았다는 지적이 나왔다”며 “60% 점유율을 감안해 제한적으로 입찰할 것이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신 회장은 “면세점에 대해선 좀 말씀드리겠다”며 준비해온 이야기를 꺼냈다. 롯데그룹이 면세점 수성에 비상한 관심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신 회장은 “롯데면세점은 세계 면세점 업계 3위로 서비스업종 중 가장 경쟁력 갖고 있는 회사라고 믿는다”며 “1980년부터 국내에 34개 정도의 회사가 면세점을 지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사업에서 철수하는 등 숫자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면세점은 아주 어려운 사업이고 세계적으로 5~7개 정도 업체에 집중돼 있다”며 “우리가 현재는 세계 3위지만 내년엔 세계 2위, 몇 년 후엔 세계 1위가 될 수 있는 ‘서비스계의 삼성전자’라고 생각한다”고 역설했다.

또 “롯데면세점이 직간접적으로 고용하고 있는 사람은 3만명이고 지금까지의 투자액도 2조8000억원 수준”이라며 “면세점은 아주 어려운 사업이고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사업도 아니기 때문에 우리가 특혜를 받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신 회장에 따르면 롯데면세점은 내년 초 태국 방콕에 시내면세점을 열고 4월 경에는 일본 도쿄에도 큰 시내면세점을 열 예정이다.

신 회장은 “이런 식으로 우리가 해외에 나가는 가장 좋은 서비스업종 아닌가 생각한다”며 “그런 면에서 국민의 지지와 후원이 필요하니 좀 더 도와달라”고 덧붙였다.

정혜인 기자 hij@

뉴스웨이 정혜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