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모넬라균 장염환자 급증···개인위생 및 음식물 관리 철저 당부

이날 광주시보건환경연구원이 매주 광주지역 8개 협력병원에서 수집한 장염환자 가검물 분석결과, 세균성 병원체 검출률이 ▲5월 20.4%(93건 중 19건) ▲6월 21.8%(147건 중 32건)수준에서 ▲7월 셋째주 52.5%(40건 중 21건)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달 들어 살모넬라균에 의한 설사환자가 세균성 장염환자 중 30.3%(33건 중 10건)에 달해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도 7월 식중독 발생 사전예측 자료를 통해 살모넬라에 의한 집단 식중독을 27%로 전망하고, 학교 등 집단급식소의 식중독 예방활동 강화를 당부했다.
살모넬라균에 감염되면 6∼48시간의 잠복기 후에 구토 복통 고열 등 증상과 함께 설사 또는 피가 섞인 끈적끈적한 변이 동반된다.
또 보통 3~7일 정도 지나면 호전되지만 면역력이 약한 환자의 경우 패혈증으로 진행해 골수염과 관절염 등의 합병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은 여름철에는 음식물이나 조리환경 관리에 소홀해도 식중독 세균 증식이 빨라 주위환경을 쉽게 오염시킬 수 있어 철저한 위생관리가 요구된다.
광주시보건환경연구원 서계원 미생물과장은 “무더위에 휴가철까지 겹쳐 세균성 식중독 발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모든 식품은 75℃에서 1분 이상 조리 후 가능한 신속히 섭취하고, 남은 음식은 5℃ 이하 저온 보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조리기구의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물은 반드시 끓여 마셔야 한다”면서 “식사 전이나 외출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는 등 개인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광주 이완수 기자 newsway007@

뉴스웨이 이완수 기자
newsway007@hanmail.net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