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전경련 “동반성장지수, 획일적 상대평가 개선 필요”

전경련 “동반성장지수, 획일적 상대평가 개선 필요”

등록 2015.06.30 11:32

차재서

  기자

공유

응답기업 61.2% “평가에 업종별 특성 고려해야”

30일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가 발표한 ‘동반성장지수에 대한 주요 기업의 인식 및 보완과제 실태조사’ 결과 기업 다수는 현행 상대평가 및 공표 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사진=전경련 제공30일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가 발표한 ‘동반성장지수에 대한 주요 기업의 인식 및 보완과제 실태조사’ 결과 기업 다수는 현행 상대평가 및 공표 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사진=전경련 제공



동반성장위원회가 매년 동반성장지수를 발표하는 가운데 기업 다수는 현행 상대평가 및 공표 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30일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협력센터)가 발표한 ‘동반성장지수에 대한 주요 기업의 인식 및 보완과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61.2%가 ‘업종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획일적 평가방식’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또한 ▲‘동반성장 실행부담에 비해 미흡한 인센티브 제도’(24.0%) ▲‘동반성장지수 평가대상 기업 선정기준 및 절차’(7.8%) ▲‘평가결과에 대한 피드백 및 이의신청 절차 미흡’(7.0%) 순으로 답했다.

동반성장지수 평가 방식 보완과제로는 응답기업 41.4%가 ‘업종별·규모별 특성에 따라 평가방식 다양화’를 택했고 ▲‘상대평가를 절대평가로 바꾸고 졸업기준 제시’(31.4%) ▲‘상위평가 기업만 발표하고 하위평가 기업은 미발표’(10.0%)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종별·규모별 특성에 따라 평가방식 다양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의 대부분(68.9%)은 도소매·식품과 건설업종에 속한 기업인 것으로 조사됐다.

동반성장지수를 평가받는 기업은 자동차·조선업체 부터 도소매·식품업체까지 다양한 업종의 대기업, 중견기업들로 구성돼 있다. 하지만 기업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상대평가 후 결과를 4개 등급으로 나눠 발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2년간 동반성장지수 평가 결과 도소매·식품 및 건설업종 기업의 하위 2개 등급(양호·보통) 차지 비율이 2012년 57.1%, 2013년 62.7%로 나머지 4개 업종에 속한 기업들보다 높았다.

이와 관련 건설업계 관계자는 “수년간 지속된 건설경기 침체로 협력사 지원이 어려울 뿐 아니라 협력사와의 거래관계가 제조업과 달리 일시적인 경우가 많아 건설기업 대다수가 하위등급을 받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구조적 특성”이라고 말했다.

동반성장지수의 도입 및 시행성과에 대해서는 ‘동반성장에 대한 경제계 인식제고·문화확산’(50.6%)이 가장 많았고 ▲‘하도급 공정거래 제도 정비 등 상생협력 기반확충’(26.6%) ▲‘대기업의 동반성장 추진시스템 구축과 경쟁력 강화’(15.2%) ▲‘협력사 경쟁력 제고 및 경영성과 개선’(5.1%) 순으로 답변이 이어졌다.

동반성장지수의 부담요소로는 ▲‘하위 등급을 받았을 경우 기업의 부정적 이미지 확산’(50.7%) ▲‘대기업에 부담을 주는 일방적인 동반성장 정책추진’(20.5%) ▲‘평가방식의 구조적 문제점으로 하위등급을 받을 수밖에 없는 실정’(15.1%) ▲‘평가를 잘 받기 위한 불필요한 사업추진 등 경영자원 낭비’(13.7%) 등이 제기됐다.

배명한 협력센터 소장은 “동반성장지수 시행으로 대기업의 협력사 지원이 늘어난 것은 사실이지만 상대평가로 불필요한 동반성장 사업을 추진하거나 하위등급 업종이 고착화되면서 기업의 동반성장 의지가 약화되는 등 부작용도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향후 본 센터 주관으로 평가기업 업종별 간담회를 통해 기업의 의견을 수렴해 업종과 규모에 맞는 합리적인 평가체제 개편이 이뤄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차재서 기자 sia0413@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