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민간 임대주택 확대 임차시장 안정시킬까

민간 임대주택 확대 임차시장 안정시킬까

등록 2014.11.06 14:30

서승범

  기자

공유

세제혜택, 규제완화 등 세부 지원책 있어야

최경환 부총리가 '동아 부동산정책포럼'에서 민간에 의한 임대 주택 공급 유도 정책 이야기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최경환 부총리가 '동아 부동산정책포럼'에서 민간에 의한 임대 주택 공급 유도 정책 이야기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6일 서민 주거환경 지원을 위해 민간 임대주택 투자 확대를 밝혔지만 임차시장을 안정시키기에는 어렵다는 평가다.

최 경제부총리는 이날 ‘동아 부동산정책포럼’ 기조연설에서 1만7000가구, 내년 중 12만가구의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업계 전문가들은 임대주택공급은 전·월세난이 나오면 매번 등장했던 졸속 정책이라는 지적과 함께 임차시장의 불안정을 단기간에 해결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고 입을 모았다.

최현일 열린사이버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는 “민간임대주택 확대 정책은 이전부터 단골메뉴로 지속해서 나왔던 것”이라며 “오늘 바로 건설에 들어가더라도 3년 이상 걸리는 것으로 효과가 나타난다 해도 몇 년 후다”고 말했다.

내년 공공임대주택 공급 계획이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팀장은 “내년에 12만가구를 공급하겠다 했는데 이 물량이 내년에 바로 공급되지는 않는다”며 “임차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곤 강남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임대주택을 확대하겠다는 원론적인 정책으로는 임대차 시장의 안정을 꾀할 수 없다”며 “민간자본을 끌어드려 12만 가구를 공급한다고 하는데 투자하려는 민간업자가 얼마나 될 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이들은 민간자본을 유입해 임대주택을 늘리려면 세금이나 자본 등 구체적인 방안도 함께 나와야 실효성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리츠 등을 통해 임대주택 사업자들을 끌어드리기 위해서는 그들의 수익률을 보장해줘야 한다. 현재 정부가 내놓은 세제혜택 등의 지원으로는 부족하다”며 “각종 규제를 풀어주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내다봤을 때 공급이 꾸준히만 이뤄진다면 2017년에는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다소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국토부가 임대주택 조기공급을 통해 2017년까지 입주를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했다”며 “현 임차시장의 문제는 저리대출 등의 문제가 아니며 공급부족 탓이다. LH, SH 등이 임대주택에 전념한다면 충분히 실효성 있는 얘기다”고 말했다.

서승범 기자 seo6100@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