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부동산 경기 가계 소비지출에 영향

부동산 경기 가계 소비지출에 영향

등록 2014.07.28 09:19

서승범

  기자

공유

전·월세값 오르면 가계소비 하락

부동산 시장의 경기 흐름이 가계 소비지출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현대경제연구원 ‘부동산 가격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주택 매맷값이 1% 오르면 가계소비를 0.13%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세 주택에 주거하는 가계는 전셋값이 1% 오르면 소비를 0.30%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세 주택에 주거하는 가계 역시 월셋값이 1% 상승하면 소비를 0.12% 줄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이 같이 부동산 가격에 따라 가계소비가 좌우되는 것은 우리나라는 부동산이 가계 자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탓으로 분석했다.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 자산 중 주택 등 실물자산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73.3%에 달했다. 이는 주요국들인 미국(31.5%), 일본(40.9%), 영국(50.1%), 유로존(58.3%), 호주(61.3%) 등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자가 주택을 가지고 있는 가구는 주택값이 하락하면 실질적인 재산이 줄어드는데다 주택담보대출 여력이 축소되기 때문에 소비를 줄인다. 전·월세 가구는 임차비용이 증가하면 주거비와 대출 이자가 더 올라가니 소비를 자중한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국내경제 회복을 위해 주택 거래활성화를 유도하고 규제정책을 시장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임차 가계의 소비 여력을 키우기 위해 전세 및 월세 가격 안정화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서승범 기자 seo6100@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