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현대重, ‘선박 충돌 회피 시스템’ 개발·성능검사 마쳐

현대重, ‘선박 충돌 회피 시스템’ 개발·성능검사 마쳐

등록 2014.07.23 13:52

윤경현

  기자

공유

2016년부터 상용화최적 항로 제시 초대형 컨-선, LNG선 등에 성능 평가 완료

현대중공업은 ‘선박 충돌 회피 시스템’ 을 지난해 말부터 6개월간 소형 선박을 이용해 안정성을 검증하고 지난 5월과 6월에는 1만38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과 16만2000입방미터(㎥)급 초대형 LNG선에 적용해 시스템 성능 평가를 마쳤다. 사진=현대중공업 제공현대중공업은 ‘선박 충돌 회피 시스템’ 을 지난해 말부터 6개월간 소형 선박을 이용해 안정성을 검증하고 지난 5월과 6월에는 1만38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과 16만2000입방미터(㎥)급 초대형 LNG선에 적용해 시스템 성능 평가를 마쳤다. 사진=현대중공업 제공



현대중공업이 ‘충돌 회피 지원시스템(HiCASS)’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항해 중인 선박이나 해상의 암초 등 각종 위험물을 최대 50km 밖에서 자동으로 탐지해 충돌을 피할 수 있도록 최적의 항로를 제안하고, 항해사의 행동지침 등을 안내해주는 것이 특징으로 국내 최초로 현대중공업이 개발 및 성능 검사에 통과했다.

특히, LNG선, 컨테이너선 등 선종별 운항 특성과 파고(波高), 해류, 바람 등 환경적인 변수를 고려해 위험 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고, ‘주의’, ‘위기’, ‘위험’ 3단계로 충돌 위험도를 알려 선박 운항의 안전성을 한층 향상시켰다.

‘자동 레이더 추적장치(ARPA)’, ‘선박자동식별장치(AIS)’, ‘전자해도시스템(ECS)’ 등 선박항해시스템과 연동되는 이 시스템은, 국제해사기구의 선박 충돌방지규정(IMO COLREGS)에 따라 위험물의 위치와 거리 등 모든 정보를 종합, 분석하게 된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말부터 6개월간 소형 선박을 이용해 안정성을 검증하고 지난 5월과 6월에는 1만38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과 16만2000입방미터(㎥)급 초대형 LNG선에 적용해 시스템 성능 평가를 마쳤다.

충돌 회피 지원시스템은 장기 운항을 통해 성능 및 안정성 평가를 마친 뒤, 2016년부터 상용화될 계획이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한 충돌회피 지원시스템은 향후 선박의 안전 운항에 큰 역할을 하고, 국내 조선산업의 신성장 동력인 스마트십을 한 단계 진화시킬 수 있는 운항지원시스템 및 통합항해시스템(INS)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011년 3월, 육상에서 선박의 운항 정보를 위성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선박 내 통합시스템을 원격으로 진단 및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십’을 세계 최초로 선보인 바 있다.

윤경현 기자 squashkh@

뉴스웨이 윤경현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