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건설사 실적악화 구조조정 바람부나

건설사 실적악화 구조조정 바람부나

등록 2013.07.04 09:15

성동규

  기자

공유

인위적 정리해고 없다···직원들 그래도 ‘노심초사’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건설사 직원들의 시름이 깊다. 하반기 업황 악화가 더욱 심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감원 등 우려가 커지고 있어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은 이번 주 임원인사에서 상무보 이상 임원 수를 100명 내외로 전보다 약 30%를 줄이기로 했다. 그러나 직원에 대한 인력 감축은 하지 않을 방침이다.

지난 1분기 대규모 적자를 낸 GS건설과 삼성엔지니어링, SK건설 등도 인력감축 등 구조조정 계획은 없다는 입장이다.

건설사들이 인위적인 정리 해고 계획이 없다고 밝혔으나 직원들은 마냥 안도할 수만도 없는 실정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건설사들은 인위적인 정리해고를 자제하고는 있지만 권고사직이나 명예퇴직 등 형태로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어서다.

실제 건설업계에서는 중견 건설사별로 3∼5% 가량 인력이 꾸준히 이동하는 것으로 예측했다.

금융위기 이후 법정관리에 들어간 6개 건설사의 직원 수는 2600명(66%)이나 감소했다. 최근 워크아웃을 개시한 쌍용건설도 일부 임원과 직원을 감축할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올해 하반기 건설업 영업 환경이 더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은 위기감을 더욱 부채질하는 요인이다.

올해 국내 건설수주 규모는 98조원으로 작년보다 3.4% 감소해 2005년 이후 처음으로 100조원을 밑돌 것으로 관측됐다. 해외 건설 수주액도 올해 작년보다 7.5% 줄어든 600억 달러에 머물 전망이다.

김민형 건설산업연구원 건설정책연구실장은 “건설업계는 올해 하반기에 총체적인 위기를 맞을 것”이라며 “자금 압박과 해외건설의 수익성 하락을 피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건설사 한 관계자는 “경기 침체가 지속하는 상황에서 실적은 점점 나빠져 사실상 감원이 불가피할 것으로 생각하는 직원들이 많다”고 말했다.

성동규 기자 sdk@

뉴스웨이 성동규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