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서울 20℃

인천 20℃

백령 22℃

춘천 16℃

강릉 18℃

청주 20℃

수원 19℃

안동 16℃

울릉도 21℃

독도 21℃

대전 21℃

전주 23℃

광주 22℃

목포 22℃

여수 22℃

대구 21℃

울산 21℃

창원 22℃

부산 21℃

제주 24℃

주택담보대출 구조 고정금리 비중 크게 늘었다.

주택담보대출 구조 고정금리 비중 크게 늘었다.

등록 2013.02.18 16:39

최재영

  기자

공유

표: 금융감독원표: 금융감독원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구조가 변동금리에서 고정금리 방식으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금감원의 '가계부채 연착륙 종합대책'후속 조치로 목표수치의 절반인 14%에 달했다.

금융감독원은 18일 내놓은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구조개선 추진실적'에 따르면 작년말 기준으로 고금리 비중은 14.2% 로 나타났고 비거치식 분할상환 비중은 13.9%로 조사됐다. 이는 고정금리 목표치(6.2%)와 분할상환 목표치(10.4%)를 크게 웃돈 수치다.

금융감독원은 2011년 6월 가계부채 연착륙 종합대책 후속조치로 고정금리와 비거치식 분할상환 비중을 확대 계획을 만들고 시중은행에 이행 지도를 해왔다. 은행권은 현재 고정금리와 비거치식 대출 비중을 2016년까지 전체 주택담보대출의 30% 수준으로 상향하는 자체 목표를 수립해 추진 중이다.

고정금리는 전년도(3.1%)보다 무려 11.1%포인트 상승했다. 은행별로는 스탠다드차탸드(SC)은행이 34.2%, 씨티은행이 22.2%, 기업은행 17.4%로 고정금리 대출 비중이 높았다. 비거치식 대출 비중은 2011년 말(7.7%)보다 6.2 %포인트 상승했다. 은행별로는 HSBC가 36.0%, SC은행이 21.9%, 경남은행이 18.8% 비거치식 대출 비중이 높았다.

고정금리와 비거치식 대출 비중과 함께 일시상환대출 비중도 삼소 추세를 보였다. 작년 2010년말 기준으로 41.3%에서 2011년에는 38.3%, 2012년에는 33.7%로 줄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앞으로 대출 비중 확대 이행실적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고 주택담보대출 구조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최재영 기자 sometimes@

뉴스웨이 최재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