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부원장은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금감원 본원에서 열린 '금융소비자보호 거버넌스 간담회'를 마친 뒤 취재진과 만나 "이번 간담회에서는 모범관행 취지와 배경을 설명하고, 우수 사례를 공유해 각사가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했다"며 "참석자들도 본인 회사의 미흡한 점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나눴다"고 설명했다.
김 부원장은 금융회사 내부의 형식적 운영 관행을 지적했다. 김 부원장은 "일부 회사에서 소비자보호위원회를 연 1회 개최하거나 서면·화상회의로 대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심도 있는 논의를 담보하지 못한다"며 "소비자군의 특성과 리스크에 맞춰 분기·반기 등 실질적 회의가 정례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KPI 설계가 단기 실적에 치우치면 안 되고, CCO(최고소비자보호책임자)가 독립성과 전문성을 갖고 문제 제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야 한다"며 "CEO와 이사회의 관심이 있을 때만 이러한 문화가 정착된다"고 짚었다.
김 부원장은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보이스피싱·해킹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 부원장은 "전산 보안과 민생 관련 보이스피싱 대응도 결국 소비자보호와 직결된다"며 "피해 예방을 위해 금융회사가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원장은 끝으로 "소비자보호는 금감원의 건전성 규제나 영업행위 감독 등 모든 업무의 근간"이라며 "영업 리스크뿐 아니라 소비자 리스크를 책임구조에 반영해야 금융산업이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박경보 기자
pkb@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