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산업 유류세 인하 조치 '단계적 세율 축소'로 가닥

산업 에너지·화학

유류세 인하 조치 '단계적 세율 축소'로 가닥

등록 2023.04.16 17:48

이수정

  기자

공유

정부가 유류세 인하 조치를 3개월 더 유지하면서 단계적으로 인하 폭을 축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정부가 유류세 인하 조치를 3개월 더 유지하면서 단계적으로 인하 폭을 축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정부가 이달 말 종료되는 유류세 인하 조치를 3개월 더 연장하되 인하 세율을 현 수준보다 낮추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차 방문한 미국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간담회를 열고 유류세 운영 방안을 이번 주 중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한꺼번에 유류세 인하 조치를 정상화하기보다 인하 폭을 단계적으로 줄이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아졌다고 설명했다.

단계적 인하 폭 조정은 최근 오펙 플러스(OPEC+, 주요 산유국 모임)가 감산 결정에 따른 국제 유가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지만 국내 민생 부담과 재정 상황을 함께 고려한 절충안이다.

다만 얼마나 인하할 것인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현재 정부는 휘발유 25% ·경유 37% 유류세 인하 조치를 시행 중인데, 인하 폭을 이보다 축소하면서 단계적으로 폐지해 나가는 방향이 유력하다. 구체적으로는 휘발유·경유 인하 폭을 25%로 맞추거나 휘발유·경유 인하 폭을 15∼20%까지 일괄적으로 낮추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이와 함께 기업 부담 완화를 위해 물가 상승 때 공사 자재 계약금액을 더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국가계약제도를 개편하기로 했다.

추 부총리는 "당과 긴밀히 협의 중"이라며 "국제유가가 높을 때 국민 부담 완화를 위해 한시적으로 탄력세율을 적용해 유류세 인하 조치를 했는데, 4월 말까지 적용하기로 해 (다음 달 이후 운영 방향에 대해)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내 재정 상황 등도 고려해야 하지만 최근 OPEC+(러시아 등 비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에서 감산을 결정해 국제유가 불확실성이 커졌기에 그에 따른 민생 부담도 다시 진지하게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이수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