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한은 "지난달 물가상승률 예상부합···3월 상당폭 낮아질 것"

금융 은행

한은 "지난달 물가상승률 예상부합···3월 상당폭 낮아질 것"

등록 2023.03.06 17:40

한승재

  기자

공유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4.8% 기록석유류 및 축산물 가격하락 영향기대인플레이션 상승세···4%대 진입

한국은행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한국은행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한국은행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해 금융통화위원회의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이라는 진단을 내놨다. 이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급등 기저효과 등에 따라 상당폭 낮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국은행은 6일 오전 '물가 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최근의 물가 상황과 향후 물가 흐름을 점검했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5%대를 유지하던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8%로 5%대에서 4%대로 내려왔다. 작년 12월 5%였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들어서도 5.2%를 기록한 바 있다.

이날 이환석 부총재보는 회의를 통해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 및 축산물 가격 하락 등으로 전월보다 낮아졌는데 이는 지난달 금통위 당시의 예상에 대채로 부합하는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석유류와 축산물 가격하락으로 오름폭이 축소됐다. 돼지고기 가격은 수요 부진으로 전월 대비 5.1%p 내려갔으며, 국산쇠고기가격도 사육 두수가 늘어 3.3%p 하락했다. 아울러 정부의 할인 정책 영향을 받아 축산물가격은 전체적으로 하락한 모양새다.

석유류가격은 휘발유가 전월비 1.2% 상승했지만 경유를 중심으로 하락했다. 경유는 올해 1월 리터당 1675.4원에서 지난달 1606.4원으로 약 4% 가량 낮아졌다. 유럽의 난방 수요 감소와 중국에서의 공급 증가 등에 영향을 받아 국제경유가격이 내려갔기 때문이다.

주변 환경에 민감한 물품(식료품·에너지)을 제외한 근원물가의 상승률은 4.0%로 나타났다. 집세와 외식물가가 각각 0.2%p씩 떨어졌지만 공공서비스물가가 0.1%p 올라 소폭 둔화하는 데 그쳤다.

기대인플레이션은 최근 전기·도시가스요금 등이 오르면서 올해 들어 소폭 상승했다. 작년 12월부터 매월 0.1%p 올라 2월 기대인플레이션은 4.0%를 기록했다.

한은은 이번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국제유가가 급등한데 따른 기저효과로 인해 상당폭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달 석유류가격은 전년동월대비 13.8% 급등했다.

한은 관계자는 "이후에도 소비자물가는 연중 목표수준(2%)을 웃도는 오름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둔화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나 향후 물가 경로상에는 국제유가 추이, 국내외 경기흐름, 공공요금 인상 폭 및 시기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한승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