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인터넷은행 연체율 상승···중저신용자 상환 여력 악화

금융 은행

인터넷은행 연체율 상승···중저신용자 상환 여력 악화

등록 2023.02.12 10:57

수정 2023.02.12 12:24

안윤해

  기자

공유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지난해 한국은행의 잇따른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인터넷 전문은행의 연체율이 꾸준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12일 은행권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카카오뱅크의 연체율은 0.49%로 1년 전보다 0.27%p 올랐다.

카카오뱅크의 연체율은 지난 2021년 말 0.22%에서 지난해 1분기 말 0.26%, 2분기 말 0.33%, 3분기 말에는 0.36%로 올랐다. 특히 4분기에는 0.13%포인트 오르며 상승폭이 크게 확대됐다.

고정이하여신(NPL) 비율도 1년 전(0.22%)보다 0.14%포인트 상승한 0.36%로 나타났다.

케이뱅크의 연체율도 지난해 3분기까지 지속적인 오름세를 보였다. 3분기 말 기준 케이뱅크의 연체율은 0.67%로, 2021년 말보다 0.26%p 상승했다. 같은 기간 NPL 비율도 0.22%p 오른 0.76%로 나타났다.

앞서 금융당국은 2021년 5월 인터넷 은행에 중금리 대출 보급 활성화를 주문했으며, 이에 따라 인터넷 은행들은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 목표치 달성에 집중해왔다.

지난해 말까지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인 25%를 달성하는데 성공했지만, 다만 고금리 상황에서 중저신용자들의 상환 여력이 악화하자 연체율이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올해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는 각각 30%, 32%로 더 높아지면서 건전성 관리의 필요성도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뱅크는 상대적으로 손실 가능성이 낮은 담보부대출 취급을 늘리고, 대안신용평가모형인 '카카오뱅크 스코어'를 통해 리스크 관리 역량을 발휘할 계획이다.

뉴스웨이 안윤해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