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이창용, "적격담보증권, 기업유동성지원기구 논의하겠다"

이창용, "적격담보증권, 기업유동성지원기구 논의하겠다"

등록 2022.10.23 16:05

김현호

  기자

공유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한국은행 제공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한국은행 제공

정부가 단기자금 시장 불안 해소를 위해 50조원 이상의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한 가운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적격담보증권에 대한 은행채 포함 여부 및 기업유동성지원기구 등을 금융통화위원회서 논의하기로 했다.

이창용 총재는 23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등과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자금 경색 사태가 통화정책 기조에 미칠 영향과 관련한 질문에 "자금시장 안정 방안은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중심으로 신용 경계감이 높아진 데 따른 미시조치"라며 "거시 통화정책 운영에 전제조건이 바뀌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아울러 은행들이 한은에서 대출할 때 적격담보증권에 은행채도 포함해달라는 요청에 이 총재는 "한은이 적격담보증권 대상에 국채 외 은행채와 공공기관채를 포함하는 방안을 이번 주 금통위에서 논의할 것"이라며 "여기서 말하는 건 적절치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은행의 요청이 관철되면 보유 중인 은행채를 대출 담보로 활용할 수 있어 자금 여력이 늘고 조달 압박 부담이 덜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한은은 2020년 3월, 코로나19 사태로 은행채 등도 적격담보증권으로 인정했다가 지난해 3월 말 한시적 조치를 종료한 바 있다.

또 이 총재는 "오늘 대책에 기업유동성지원기구(SPV)나 다른 방안(금융안정특별대출)은 빠졌는데 이번 방안들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필요하면 금통위원회에서 다시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최근 강원도가 보증한 레고랜드 테마파크 대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이 최종 부도 처리되면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으로 불안 심리가 확산되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채안펀드 보다 시장에 보다 직접적이고 강한 효과를 낼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인 SPV 조치가 거론되고 있다. SPV는 저신용등급을 포함한 회사채·CP 매입기구로 한은이 유동성을 공급하고 산업은행이 운영하는 방식을 뜻한다.

뉴스웨이 김현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