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하루 늦게 터진 '빅스텝 공포'···뉴욕증시 3대지수 동반 폭락

하루 늦게 터진 '빅스텝 공포'···뉴욕증시 3대지수 동반 폭락

등록 2022.05.06 07:38

정백현

  기자

공유

다우·나스닥·S&P500 일제히 3%대 이상 하락전문가 "금리 인상 이후 시장 역풍 이제야 인식"'4회 연속 금리 인상' 英 중앙은행 행보도 한몫

사진=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이 금리 인상을 발표한 가운데 이른바 '빅스텝'에 대한 시장의 여파가 하루 늦게 나왔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와 나스닥, S&P500 등 뉴욕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주요 지수가 일제히 폭락했다.

다우지수, 나스닥. S&P500 등 뉴욕증시 3대 지수는 5일(현지시간) 전거래일 대비 하락율이 일제히 3% 이상을 기록하며 이날 거래를 마쳤다.

다우지수는 전거래일보다 3.12% 내린 3만2997.97에, 나스닥은 4.99% 폭락한 1만2317.69에 마감했고 S&P500 역시 3.56% 떨어진 4146.87에 마감했다. 특히 다우지수와 나스닥지수의 하략률은 2020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요 종목들도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지난 4일 나란히 상승세를 기록했던 애플과 스타벅스는 각각 5.57%, 5.10% 내렸고 테슬라는 이날에만 8.33% 하락하며 873.28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 4일 뉴욕증시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 발표 이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0.75%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을 일축하면서 이렇다 할 충격 없이 지나갔다.

다우지수는 2.81% 오른 3만4061.06에 거래를 마쳤고 나스닥지수도 3.19% 상승한 1만2964.86을 기록했으며 S&P500은 2.99% 오른 4300.17에 마감하는 등 금리 인상 발표 이후에도 오히려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5일 돌연 폭락세로 돌아선 것은 미국 통화당국의 정책 기조가 긴축 방향으로 더 뚜렷해지고 이에 따른 역풍이 물가 급등과 고용률 하락, 노동 생산성 저하 등 시장과 거시 경제 안팎에 불어닥칠 것이라는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되고 있다.

여기에 영국의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이 5일 기준금리를 또 올린 것도 증시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잉글랜드은행은 기존보다 0.25%포인트 오른 연 1.0%로 기준금리를 조정해 4회 연속 금리 인상을 단행하게 됐다. 금리 인상 후 영국 파운드화 가치는 급락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연준이 긴축을 계속함에 따라 주가 상승세가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자카리 힐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 포트폴리오 전략 대표는 주요 외신을 통해 "긴축 상태로 정책 기조를 전환한 연준이 추가 긴축에 나설 것이 분명하다"면서 "경제지표가 나아지지 않는 상태에서 연준이 매파적 목소리를 내면 증시가 더 크게 흔들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뉴스웨이 정백현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