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정부, 우리금융 지분 일부 블록딜···민영화 본격 스타트(종합)

금융 은행

정부, 우리금융 지분 일부 블록딜···민영화 본격 스타트(종합)

등록 2021.04.08 18:37

주현철

  기자

공유

사진= 우리 제공사진= 우리 제공

정부가 우리금융지주 지분 2%(1444만여주)를 시간 외 대량매매(블록딜)로 처분하기로 하면서 우리금융 완전 민영화 작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에 따르면 예금보험공사는 9일 증시 개장 전까지 우리금융 보통주 1444만여주(지분율 2%)를 블록딜 형태로 처분할 예정이다. 미래에셋증권과 삼성증권, JP모건이 주관사로서 국내외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한다.

주당 매각가 범위는 8일 종가인 1만600원에 할인율 0%~2.5%를 적용한 1만335~1만600원이다. 총 거래 규모는 1530억원에 이른다.

금융위원회 산하기관인 예보는 우리금융 지분 17.25%(약 1억2460만 주)를 보유한 최대 주주다. 2% 지분 매각은 지난 7일 주가가 장중 주가가 1만850원으로 52주 신고가를 기록한 상황에서 실행됐다.

정부는 지난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금융회사 구조조정 과정에서 12조8000억원의 공적자금을 우리금융에 투입했고, 지분매각 등으로 지금까지 총 11조1000억원을 회수했다.

금융위는 2022년까지 약 2∼3차례에 걸쳐 예보가 보유한 우리금융 지분을 모두 매각한다는 로드맵을 마련했으나 지난해 우리금융 주가가 예보의 원금 회수 가격대인 1만2000원 수준에 달하지 못해 일정대로 지분 매각을 추진하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 주가가 회복되는 등 우호적인 매각 여건이 조성되면서 잔여지분 매각 작업을 재개한 것으로 보인다. 지분매각의 중요 변수는 주가였는데 비은행부문 수익 개선 기대감으로 주가가 상승하면서 매각 작업이 탄력을 얻은 것 풀이된다.

앞서 우리금융은 아주캐피탈을 인수해 우리금융캐피탈을 출범시켰고 실적이 호조세라 약점을 만회해가는 모습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향후 증권사 등 추가 인수합병을 통해 비은행 부문을 강화한다면 우리금융의 주가는 더욱 오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