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3일 금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코오롱 고속승진 3인방, 그룹 ‘핵심 브레인’

코오롱 고속승진 3인방, 그룹 ‘핵심 브레인’

등록 2020.12.24 13:52

이세정

  기자

공유

㈜코오롱 임원 3명, 2년 주기로 레벨업옥윤석 전무, 컨트롤타워 사무국장···핵심 경영진안상현 상무, 오너4세 이규호 지근거리 보좌키도지주사 유일 女 이수진 상무, 10년간 경영관리만지배구조·지분 정리 등 안정적 승계 기반 구축 임무

코오롱 고속승진 3인방, 그룹 ‘핵심 브레인’ 기사의 사진

코오롱그룹 지주사 ㈜코오롱에서 고속 승진을 이어가는 삼인방이 있다. 옥윤석 전무와 안상현 상무, 이수진 상무다. 70년대생인 이들은 그룹 전반의 경영현안을 책임지고 미래 방향성을 모색하는 전략기획 등 ‘브레인’을 전담하고 있다.

24일 재계 등에 따르면 코오롱그룹이 이달 초 실시한 정기 임원인사에서 총 3명의 ㈜코오롱 임원이 승진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옥윤석 전무는 상무 2년만에 직급이 한 단계 올랐고, 안상현·이수진 상무 역시 2년 만에 ‘보’꼬리를 떼 냈다.

이들은 모두 초고속 승진길을 걷고 있다. 옥 전무는 2016년 말 상무보로 처음 ‘별’을 단 뒤, 격년으로 레벨업을 하고 있다. 안 상무와 이 상무도 동일하다.

1970년생으로 올해 만 50세인 옥 전무는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재무·회계 전문가다. ㈜코오롱에서 공시와 회계 담당 업무를 맡아온 옥 전무는 코오롱플라스틱 경영기획실장(부장), 코오롱인더스트리 비서실(상무보), ㈜코오롱 사업관리실장(상무) 등 핵심 계열사를 거쳐왔다.

현재 재직 중인 경영관리실장 직은 윤광복 코오롱인더스트리 부사장이 거쳐간 자리로, 요직으로 가는 코스 중 하나로 꼽힌다.

특히 옥 전무는 올해 1월부터 그룹 컨트롤타워인 ‘코오롱원앤온리위원회’에서 사무국장을 맡고 있다. 원앤온리위원회는 주요 계열사 사장단 협의기구인 만큼, 옥 전무는 사실상 그룹 핵심 경영진으로 분류된다.

㈜코오롱 전략기획실장인 안 상무는 1978년생으로 만 42세다. 미국 코넬대 경영학 석사(MBA) 과정을 밟았고, 코오롱글로벌과 ㈜코오롱에서 근무했다. 안 상무는 이웅열 전 코오롱그룹 회장 장남인 이규호 코오롱글로벌 부사장이 ㈜코오롱 전략기획실 상무로 경영수업을 받을 당시 그를 약 1년간 보필하기도 했다.

㈜코오롱 유일한 여성 임원인 이 상무는 1979년생으로, 막 40대에 접어들었다. 연세대 경영학과 출신으로 옥 전무와 동문인 그는 2010년부터 경영관리실에서 근무하며 옥 전무가 부장이던 시절부터 지근거리에서 합을 맞춰왔다.

재계 안팎에서는 세 사람의 영향력에 주목하고 있다. 비교적 젊은 나이에 핵심 보직을 꿰차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코오롱인더스트리와 코오롱플라스틱 등 주요 계열사는 60년대생 임원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통상적인 승진 시기도 4~5년이다.

옥 전무와 안 상무, 이 상무는 이 부사장 안정적인 승계 기반 마련이라는 임무를 부여받은 것으로 보인다. 고(故) 이동찬 명예회장과 이 전 회장을 모두 보필한 안병덕 부회장이 ㈜코오롱 대표이사로 발령난 것과도 연관성을 유추할 수 있다는 게 재계의 시각이다.

코오롱그룹은 2018년 이 전 회장이 경영퇴진한 이후 이 부사장으로의 경영승계 절차를 밟고 있다. 이 부사장은 코오롱인더FnC 부문 최고운영책임자(COO)로 실질적인 패션부문 대표직을 수행해 왔지만, 시장의 인정을 받을 만한 성과는 내지 못했다.

이 부사장은 이번 인사로 코오롱글로벌로 자리를 옮겨 수입차 사업을 총괄하게 됐다. 각사별 독립경영 체제를 구축한 만큼, 지주사의 경영개입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계열사별 지분정리를 통한 지배구조 개편 등 우회적인 지원은 가능하다.

㈜코오롱이 코오롱오토케어서비스 지분 전량을 코오롱글로벌에 넘긴 것은 이와 맥락을 같이한다. ㈜코오롱은 지난달 16일 코오롱글로벌에 코오롱오토케어 지분 100%를 1258억원에 처분했다. 이 부사장이 수입차 사업을 총괄할 수 있도록 한 사전정지 작업인 셈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총수 부재가 2년째 이어지는 코오롱그룹의 가장 큰 이슈는 경영권 승계”라며 “지주사 핵심 임원들의 역할론이 부상하는 배경”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세정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