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김기병 회장, 주식매매대금 반환 판결에 항소···“부당 판결”

김기병 회장, 주식매매대금 반환 판결에 항소···“부당 판결”

등록 2020.06.29 14:57

수정 2020.06.29 15:02

정혜인

  기자

공유

“담보 외에 다른 청구 않기로 한 조항 있는데담보 대신 돈 달라는 호텔신라 주장은 억지”

사진=동화면세점 제공사진=동화면세점 제공

김기병 롯데관광개발 회장이 호텔신라에 주식매매대금 788억원을 지급하라는 법원의 1심 판결에 대해 항소하기로 결정했다.

29일 동화면세점에 따르면 김 회장은 지난 26일 서울중앙지방법원 제17민사부(재판장 이상주 부장판사)에서 열린 주식매매대금 청구 소송 1심 재판 결과 호텔신라에게 788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한 것에 대해 항소하기로 했다.

이번 소송의 발단은 2013년 시작됐다. 호텔신라가 당시 김 회장이 최대주주로 있는 롯데관광개발의 용산개발사업 부실 해결을 위해 600억원을 빌려줬는데, 3년 후 김 회장이 이를 상환할 수 없다며 담보로 설정돼 있던 동화면세점 지분 30.2%를 호텔신라에 가져가라고 요구했다. 호텔신라가 동화면세점 지분을 받을 경우 이 회사 최대주주가 된다. 호텔신라는 동화면세점 지분을 받을 수 없으니 돈을 내놓으라는 소송을 2017년 제기해 3년 여만인 지난 26일 1심 판결에서 승소했다.

김 회장 측은 “주식매매계약서상 명시적인 조항을 명백히 무시한 부당한 판결”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 회장이 주식 재매수를 하지 못할 경우 호텔신라는 김 회장에게 담보로 제공한 주식 외에 일체의 추가 청구를 하지 않도록 하는 조항이 있다는 것이다.

동화면세점은 “2013년 5월 체결된 주식매매계약에는 김 회장이 동화면세점 주식 19.9%를 호텔신라에 매각하되 호텔신라는 해당 주식을 되팔 수 있는 매도청구권과 이에 대한 담보로 주식 30.2%를 추가로 질권 설정하도록 돼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매매계약서 4조3항에는 매도청구권 행사에도 김기병 회장이 주식 재매수를 하지 못할 경우 담보로 제공한 주식이 호텔신라에 귀속돼 호텔신라가 전체 50.1%를 보유하게 되며, 호텔신라는 김 회장에 대해 일체의 추가 청구를 하지 않도록 돼 있다”고 덧붙였다.

동화면세점은 “이런 주식매매계약서상 명확한 규정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재판부는 호텔신라의 매도청구권 행사에 대해 주식을 재매수하지 않은 김 회장이 계약을 위반했다고 판결했다”며 “이는 재판부가 면세점 시장상황이 악화되자 계약서상 서로 합의한 담보 주식 대신 돈으로 달라는 호텔신라의 억지 주장을 일방적으로 받아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김 회장은 고(故) 신격호 롯데그룹 명예회장의 막내 여동생인 신정희 동화면세점 대표의 남편이다. 롯데관광개발 최대주주이며, 지난해 말 기준 동화면세점 지분 41.7%를 보유한 최대주주기도 하다.

뉴스웨이 정혜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