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이주열 총재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 우려···디플레이션 징후는 없어”

이주열 총재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 우려···디플레이션 징후는 없어”

등록 2019.09.29 12:00

한재희

  기자

공유

7월 성장률 전망치 2.2% 달성 녹록지 않을 것디플레이션 우려 과도···연말 물가상승률 회복 기대대내외 불확실성 높은만큼 통화 완화 기조 유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인천에 위치한 한국은행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인천에 위치한 한국은행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7월에 내놓은 경제성장 전망치 2.2% 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봤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 탓으로 하방리스크(경기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요인)가 더 크다는 평가를 내놨다. 다만 시장에서 우려하는 디플레이션에 대해서는 지난친 우려를 경계했다. 경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봤을 때 디플레이션 징후라고 판단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이주열 총재는 27일 인천에 위치한 한국은행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7월 이후 두 달간의 흐름을 종합해 보면 하방리스크가 더 크지 않나 걱정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11월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내놓을텐데 2.2.% 달성이 녹록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미‧중 무역분쟁과 브렉시트가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중동지역에서 사우디 원유 생산시설이 피격되는 등 유가방향에 대한 불안도 겹쳐지면서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글로벌 경제의 성장세가 계속 약화되고 있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유로지역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독일의 제조업 부진으로 2분기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고 중국 역시 투자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에 따라 주요국 중앙은행들은 통화정책을 조금 더 완화적으로 조정했다”면서 “미 연준이 7월에 이어 지난주 FOMC회의에서 정책금리를 추가 인하했고 ECB도 금리를 낮췄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결국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 흐름이 좀 더 갈 것으로 본다”면서 “연내에는 불확실성의 여파로 글로벌 경기의 흐림이 모멘텀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국내 경제 역시 글로벌 경제 흐름의 영향으로 실물경제 둔화세를 나타내고 있다”며 “투자 부진, 소비 증가세 약화 등 소비 심리가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부진한 수출과 투자의 가장 큰 주된 원인이 반도체 경기가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면서 “반도체 경기 회복 시기 진입까지는 시간이 좀 더 걸리는 걸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특히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8월 중 0%로 크게 낮아지는 등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디플레이션 징후로 볼 수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 총재는 “9월 소비자 물가가 마이너스를 나타낼 것으로 보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이라면서 “농축수산물 가격이 작년에 급등한 데에 따른 기저효과가 해소되는 빠르면 연말, 아니면 내년 초 쯤에는 소비자물가가 1% 내외로 올라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근원인플레이션을 보면 농수산물과 석유가격을 제외한 근원인플레이션율은 0.8∼0.9%, 1%에 가까이 가고 있다”며 “0.8%, 0.9%정도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는 근원인플레이션 중에서도 정부 정책의 영향을 제거해 놓고 보면 1%를 넘어간다”고 설명했다. 농축수산물, 석유가격, 정부정책 효과만 제거해 보아도 벌써 1%대로 보면 디플레이션 우려는 과도하다는 것이 이 총재의 분석이다.

디플레이션이라고 판단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요인이 있어야 하는데 장기간 동안 많은 품목에서 물가하락이 이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디플레이션 징후로 읽기 어렵다는 것이다. 일본의 경우 과거 디플레이션이 심할 때 전체 조사대상 품목의 3분의 2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바 있다.

또 기대 인플레이션이 낮아진 것 역시 물가상승률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 총재는 “기대인플레이션은 통상 실제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며 “과거에도 물가상승률이 떨어지면 기대인플레가 같이 떨어졌다가 다시 그런 기저효과가 사라져서 실제 물가상승률이 올라가면 기대인플레이션이 다시 또 올라가는 패턴을 볼 수 있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대외 여건과 국내 성장과 물가 전망경로의 불확실성이 한층 높아진 점을 고려해서 통화정책을 완화적으로 운용하겠다는 기조에는 변화가 없다”면서 “10월 열리는 금통위까지 모든 지표를 살펴보고 거시경제와 가계부채 등 금융안정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