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7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최정우號, 비철강 사업 속도···2차전지통합추진반 구성

최정우號, 비철강 사업 속도···2차전지통합추진반 구성

등록 2018.09.21 10:57

임정혁

  기자

공유

포스코켐텍 내부에 TF 구성하고 소재사업 강화김원희 TF반장 선임···재무통 이력에 소통 원활취임 100일 기자회견서 구체적 밑그림 나올 듯

최정우 포스코 회장. 사진= 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최정우 포스코 회장. 사진= 최신혜 기자 shchoi@newsway.co.kr

‘비철강 사업’을 강조한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계열사 포스코켐텍 내부에 관련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면서 속도를 내고 있다.

21일 포스코에 따르면 포스코켐텍은 자체적으로 ‘2차전지통합추진반’ TF를 구성하고 2차전지 사업의 통합 시너지 가능성을 모색한다. TF는 최 회장이 포스코켐텍 사장이던 시절 기획재무실장을 지낸 김원희 사장이 맡았다.

포스코켐텍은 그룹 내에서 석탄화학, 탄소소재, 2차전지용 음극재를 생산하는 계열사로 최 회장이 그룹 전권을 잡은 직후 시장에서 먼저 주가 상승 등의 반응으로 그 역할이 높아질 것이란 예상을 받은 곳이다.

2차전지 소재는 최 회장이 지난 7월 취임 당시부터 신성장 동력으로 꼽은 사안이다. 이 가운데 양극재와 음극재는 전기차 배터리와 에너지저장장치(ESS)의 핵심소재로 소재사업 강화에 힘을 싣고 있다. 업계에서는 전기자동차와 ESS 시장 확대에 따라 2차전지 소재 시장이 한 단계 도약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IBK투자증권이 낸 ‘2차전지 : 새로운 바람’ 리포트에 따르면 올해 2차전지 시장은 전년 대비 19.3% 커진 223억 달러 규모가 예상되며 양극재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6% 증가한 91억 달러로 추정된다.

ESS 시장은 세계 각국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으로 2017년 4.6GWh 규모에서 2025년 90GWh로 약 18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음극재 시장도 올해에만 전년 대비 6% 성장세를 보여 향후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 회장이 포스코켐텍 사장을 지낸 것에 비춰 ‘재무통’ 이력답게 보수적으로 접근하되 최대한 신성장 동력 확보에 발걸음을 내딛은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김원희 사장이 TF를 이끄는 것도 자신과 가장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인물에 책임을 줘 그만큼 심혈을 기울인다는 해석이 나온다.

최 회장은 지난 20일 제3차 남북정상회담 특별수행원으로 북한을 둘러보고 돌아왔다. 앞서 대북사업 관련 TF를 꾸리는 등 집중해야 할 사업을 모색하는 단계다. 그만큼 이번 TF 구성 역시 최 회장의 의중이 강하게 반영됐다는 평가다.

최 회장은 오는 11월 초 취임 100일 시점에 개혁과제와 대북사업 관련 밑그림을 내놓는다. 이때 TF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설명이 나올 전망이다.

뉴스웨이 임정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