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강남4구 아파트값 3개월 만에 상승, 영등포·용산구 집값도 UP

강남4구 아파트값 3개월 만에 상승, 영등포·용산구 집값도 UP

등록 2018.07.20 15:22

손희연

  기자

공유

7월 3주 서울 매매가격지수변동률. 사진=한국감정원 제공.7월 3주 서울 매매가격지수변동률. 사진=한국감정원 제공.

최근 양도소득세 중과 시행, 보유세 개편안의 영향으로 짙은 관망세를 보였던 서울 아파트값이 전주 대비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서울 강남구를 뺀 나머지 강남 4구 지역인 강동·서초·송파구 아파트값이 3개월여 만에 상승 반전을 보였고, 영등포·용산구 등 강북 일대도 오름세를 보였다.

19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16일 기준 서울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0.10%를 기록, 오름폭이 전주 대비 상승률보다 0.02%p 커졌다. 서울 강남구는 지난주와 동일한 -0.05를 기록했으나, 송파구(0.04%)와 서초구(0.01%)가 상승 전환했고 지난주 보합이던 강동구도 0.05% 올랐다. 송파구는 '잠실주공5단지' 등 매머드급 단지들의 저가 매물이 소진되며 가격이 올랐고, 서초구도 최근 매물이 일부 팔렸다.

강북 14개구는 0.13% 상승했다. 서울시의 여의도·용산 개발계획 공개의 영향으로 영등포구 아파트값은 지난주 0.14%에서 금주 0.24%로, 용산구는 지난주 0.12%에서 금주 0.20%로 오름폭이 커졌다. 특히 은평구(0.22%)는 정비사업 및 교통호재 영향으로 크게 올랐다.

감정원은 근 수개월 하락한 강남권 단지들의 저가매물이 소진되면서, 가격이 다소 오른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금리 및 경기 변수가 있어 이 같은 분위기가 이어질 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4%를 나타냈고, 이중 지방은 -0.09%를 기록했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0.08%로 약세가 이어졌다. 다만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6%로 전주(0.05%) 대비 오름폭이 확대됐다. 서초구가 0.32%로 전세가격이 많이 뛰었다. 재건축 이주가 본격화하면서 전세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다. 동작구(0.21%)도 정비사업 이주수요로 올랐다. 영등포구(0.20%)와 양천구(0.17%)는 여름방학 대비 이사수요가 증가했다.

뉴스웨이 손희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