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한미FTA, 양국 모두에게 이득인 협정”

“한미FTA, 양국 모두에게 이득인 협정”

등록 2017.10.11 14:28

강길홍

  기자

공유

한미 FTA가 양국 모두의 총 생산성을 제고해 당사국 간 수출증대 효과를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1일 한국경제연구원의 ‘한미 FTA 재협상이 총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한미 간 관세율 인하·철폐 시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은 최대 156억달러, 미국의 대한 수출은 최대 429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또 한미 FTA가 노동생산성 개선과 기업의 기술진보를 유발해 양국의 총 생산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산업 내 로테크 내수기업과 하이테크 수출기업 간 경쟁 관계와 노동자와 각 기업군을 모형화해 부문별 관세율 인하에 따른 양국의 수출증대 효과를 네 가지 시나리오에 맞춰 분석됐다.

한편 한경연은 이번 분석을 위해 생산성 효과분석이 불가한 기존 경제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고 기업과 노동자의 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경제모형을 개발해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한미 FTA는 양국 간 교역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의 대 한국 수출을 크게 늘려 미국의 대 한국 무역수지 개선 효과가 컸다.

1차 산업과 제조업 부문의 전체 관세율을 완전 철폐할 시 한국의 대 미국 수출은 153억달러 증가하는 반면 미국의 대 한국 수출은 429억달러 증가해 한국의 대미 수출 증가분을 크게 상회했다.

제조업 부문에 한정해 관세율을 완전히 철폐할 경우 우리나라의 대미수출 증가금액은 156억달러로 시나리오 중 가장 큰 무역수지 개선 효과를 보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미 FTA는 노동생산성을 개선하고 기업의 기술진보를 동시에 유발해 한미 양국 모두의 총 생산성도 제고했다.

노동생산성은 네 가지 시나리오 모두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또한 기업 측면에서는 제조업 부문 로테크 내수기업 수는 줄고 하이테크 수출제조기업 수가 늘어났다.

1차 산업과 제조업 부문의 관세율을 완전 철폐하면 한국의 하이테크 수출제조기업 수는 1.29%, 미국은 6.21% 증가했다. 로테크 내수제조기업의 퇴출과 하이테크 수출제조기업으로의 전환에 따른 결과다.

정재원 연구위원은 “미국의 대 한국 또는 대외 무역수지 악화가 지속되고 있는 것은 한미 FTA 체결에 따른 결과가 아니라 미국 산업 전반의 대외 경쟁력 약화 등 다른 내부 산업 구조 문제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며 “실제로 모형 내 미국 노동 생산성을 조금만 감소시키더라도 한미 FTA의 총 생산성 증대효과는 크게 잠식되는 것으로 나온다”고 강조했다.

또한 “최근 미국의 한미 FTA 재협상 또는 폐기 요구는 한미 양국의 교역감소, 총 생산성 감소로 이어질 것이며 이에 따른 피해는 미국이 훨씬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강길홍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