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최태원 SK 회장 “기업, 사회적 가치 창출해야 사회와 공존 가능”

최태원 SK 회장 “기업, 사회적 가치 창출해야 사회와 공존 가능”

등록 2017.05.28 19:34

한재희

  기자

공유

최태원 SK 회장이 27일 중국 상하이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7 상하이포럼 개막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SK그룹 제공최태원 SK 회장이 27일 중국 상하이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7 상하이포럼 개막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SK그룹 제공

8개월만에 중국을 방문한 최태원 SK 그룹 회장이 중국에서 열린 국제 학술행사에서 ‘기업의 사회적 의무’를 강조했다.

28일 SK그룹에 따르면 최 회장은 지난 27일 중국 상하이국제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2017 상하이포럼’ 개막식에서 “기업은 재무적 가치(Financial Value)뿐 아니라 사회적 가치(Social Value)도 창출해야 진정으로 사회와 공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올해 12회째를 맞은 상하이포럼은 한국고등교육재단이 중국 푸단대학과 함께 주최하는 국제학술포럼이다. 최 회장은 한국고등교육재단 이사장 자격으로 매년 이 포럼에 참석해 왔다.

최 회장은 개막식에서 “서구는 물론 아시아 주요 국가들이 과거와 같은 고속성장을 지속하기는 어렵다”며 “이제는 고도 성장기에 묻고 넘겨왔던 문제들을 치유하는 것이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특히 최 회장은 그동안 이익 실현에만 열을 올리던 재계의 모습을 비판하며 재무적 가치와 함께 사회적 가치를 모두 반영하는 ‘더블보텀라인(double bottom line)’이라는 새로운 기업가치 평가기준도 제시했다. 그리고 SK그룹이 앞장서 이 기준을 사용해 기업을 평가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사회적 기업들이 만든 사회적 가치를 돈으로 환산해 보상해주는 사회성과인센티브(SPC, Social Progress Credit) 제도를 직접 소개했다. SK는 지난해부터 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최 회장은 2014년 사회적 기업 전문서 ‘새로운 모색, 사회적기업’을 펴낼 정도로 평소 관련 분야에 깊은 관심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최 회장은 올해 초 SK그룹 계열사 정관에 포함됐던 ‘이윤 추구’ 문구를 삭제하고 대신 ‘이해관계자의 행복 극대화’를 반영했으며 최근에는 사회적 관심사가 된 비정규직 해소 문제 해결을 위해 5,000여명 규모의 SK브로드밴드 내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KAIST(카이스트)에 '사회적 기업가 MBA'를 최초로 개설하는 등 사회적 기업 육성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국내 최대 규모의 사회적 기업인 행복나래도 SK가 설립을 지원했다. SK는 행복나래, 행복도시락 등 직접 운영 중인 13개 사회적 기업을 통해 총 2천500여명의 직접 고용을 창출했다. 외부 사회적 기업에는 사회성과인센티브를 통해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고 있다.

한편, 최 회장은 상하이포럼 참석에 앞서 베이징을 방문, SK차이나 제리 우 신임대표를 만나는 등 글로벌 경영 행보를 이어갔다. 지난 4월 선임된 우 대표는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골드만 삭스에서 근무한 금융전문가다.

최 회장은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 한반도 배치를 둘러싼 한중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 내 SK그룹 계열사들의 분위기를 살펴보고 해법 마련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