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공정위, CJ헬로비전 인수합병 ‘자승자박’..혼란만 부추겼다

공정위, CJ헬로비전 인수합병 ‘자승자박’..혼란만 부추겼다

등록 2016.07.05 17:19

수정 2016.07.05 17:25

한재희

  기자

공유

SKT·CJ헬로비전 허송세월에 경쟁력 놓쳐정해진 심사 기한 넘기며 논란만 부추겨심사보고서 비공개에 또 한 번 업계 술렁

공정거래위원회가 기업 인수합병 심사 기한인 120일을 훌쩍 넘긴 217일만에 심사보고서를 완료하면서 업계 혼란을 가중시켰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사진=SK텔레콤, CJ헬로비전 제공.공정거래위원회가 기업 인수합병 심사 기한인 120일을 훌쩍 넘긴 217일만에 심사보고서를 완료하면서 업계 혼란을 가중시켰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사진=SK텔레콤, CJ헬로비전 제공.

‘자승자박(自繩自縛)’ 즉 자기가 한말과 행동에 어려움을 겪는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처해진 현재의 모습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 인수합병(M&A) 심사보고서를 발송했다. 7개월만이다.

그동안 ‘골든타임’을 놓친 꼴. 심사 기한 120일을 넘기며 관련 업계 내 불란과 잡음만 부추겼다는 비판이 나온다. 심사보고서 평가 과정과 내용을 비공개로 처리해 논란을 부추겼다는 비판도 피할 수 없게 됐다. 판을 만든 공정위는 다시 CJ헬로비전 인수합병(M&A)건을 원점으로 가져왔다.

5일 통신방송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지난 4일 M&A 심사보고서를 발송했다. 심사보고서에서 는 주식 취득 및 합병 금지 명령이 담겨있어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M&A를 불허한 것으로 확인 됐다. ‘불허’라는 심사보고서가 나오기까지 217일이 걸렸다.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은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유감’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은 대규모 콘텐츠와 네트워크 투자 등을 통해 유료방송 시장 도약에 함께 하고자한 계획이 좌절 된 것에 대해 충격이라는 뜻도 전했다.

특히 CJ헬로비전은 공정위가 심사를 이유로 시간을 보낸 7개월 간 영업활동 위축과 투자홀딩, 사업다변화 기회 상실로 영업이익, 미래성장성이 모두 하락했다고 밝혔다.

공정위가 늑장 심사를 하는 동안 CJ헬로비전은 사실상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인수합병이 결정되면 CJ헬로비전이 추진하는 신사업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상황에서 투자를 진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 IPTV의 성장으로 가입자 수가 하락하고 있는 케이블 시장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것은 그만큼 위험부담이 커진다는 뜻이다.

그동안 심사 기한이 늦어진다는 비판에 공정위는 “경쟁 제한성에 대한 심사과정에 있어서 자료보정 기간이 심사기한을 초과한 것은 아니다”라며 “이번 건은 방송·통신 융합의 첫 사례”라고 주장했다. 신고 회사의 자료 제출 소요시간과 기업결합 유형,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심사기간이 달라 질 수 있다고 해명했다.

지난 4일에는 법정심사기한은 신고서 접수일로부터 120일로, 보정 기간을 감안하면 법정심사기한 내에 처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덧붙여 CMB의 종합유선방송사업지 인수 건이 방송·통신분야 기업결합 중 최장 932일이 소요된 것과 비교해 늦은 심사가 아니라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공정위의 해명에도 비판이 끊이지 않는 것은 지난 7개월 동안 업계 내 다툼이 격화되면서 혼란만 부추겼기 때문이다. 여기에 일부러 시간을 끄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나오면서 이번 M&A를 찬성하는 진영과 반대하는 진영의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졌다.

SK텔레콤은 확인되지 않는 ‘설’에 시달려야 했다. 심사 결과가 곧 나온다는 확인되지 않은 소문들 때문에 업계 전체가 술렁인 것도 한 두 번이 아니다. 직접적인 이해당사자 뿐 아니라 학계와 시민단체, 지상파방송까지 찬반으로 나뉘면서 갈등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업계에서는 공정위 심사 과정에 대한 지적도 있다. 심사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아 어떤 부분을 어떻게 심사했는지 알 수 없는 ‘깜깜이’ 심사라는 비판이다.

공정위가 무엇 때문에 자료보정이 필요하고 현재까지 얼마나 심사기간을 사용했는지, 심사가 마무리 되는 시점 등에 대한 설명 없이 심사를 끈 것이 문제라는 주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공정위의 심사가 지나치게 길어지면서 혼란을 부추긴 것이 사실”이라면서 “인수합병 심사과정을 공개해도 되는 것이고 보고서 역시 기밀이 아닌 사항인데 왜 공개하지 않는지 의문”고 말했다.

이어 “케이블 업계측에서 보면 현재 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 출구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라 더욱 걱정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재희 기자 han324@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