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4월 백화점·대형마트 ‘웃었다’···임시공휴일 효과

4월 백화점·대형마트 ‘웃었다’···임시공휴일 효과

등록 2016.05.30 11:00

현상철

  기자

공유

대형마트 매출 반등 성공···백화점 매출 3개월 새 최대편의점 15개월 연속 두자릿수 매출 증가···점포당 매출은 감소세‘4·13 총선-토요일 증가’···지난해보다 휴일 2일 늘어난 영향

4월 백화점·대형마트 ‘웃었다’···임시공휴일 효과 기사의 사진

4월 총선 임시공휴일과 토요일 증가 등으로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출이 크게 올랐다. 지난해보다 휴일이 이틀 늘어난 영향이다. 편의점은 여전히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이가고 있다.

30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4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편의점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8.1%, 백화점 4.3%, 대형마트 1.7% 증가했다. 기업형슈퍼마켓(SSM)은 1.6% 감소했다.

올해 2월부터 2개월 연속 매출이 뒷걸음질 쳤던 대형마트는 반등에 성공했고, 백화점도 최근 3개월 중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편의점은 지난해 2월부터 15개월 연속 두 자릿수 매출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4·13 총선 임시공휴일과 토요일이 하루 늘어난 데다 업체의 할인 확대, 사은행사 조기실시 등으로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출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SSM은 가장 큰 매출비중을 차지하는 농축수산물 판매가 줄어 매출이 한 달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올해 2월(-7%)부터 2개월 동안 마이너스 매출을 기록했던 대형마트는 4월에 반등에 성공했다. 휴일이 늘어났고, 일부 업체의 창립행사로 세일을 강화한 영향을 받았다. 매출비중의 55.5%를 차지하는 식품에서 1.8% 증가했다. 평균최고기온 상승, 매장 외부행사, 의류 판촉행사 등으로 봄·여름 의류(8.5%) 판매가 늘어난 것도 매출상승에 영향을 줬다.

백화점은 휴일증가, 신규매장 오픈, 기프트 사은행사 조기 실시, 평균최고기온 상승 등으로 모든 품목 매출이 상승했다. 지난해보다 해외유명브랜드 매출이 8.6%나 증가했다. 주요 매장 리뉴얼 등으로 시계·주얼리·의류·잡화 판매가 늘었다. 의류의 경우 패션장르 전 부문 매출이 증가했다. 전달과 비교해 남성의류는 56.7%, 아동·스포츠도 47.1%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편의점은 즉석·신선식품(43.2%), 가공식품(17.7%), 담배 등 기타(16.2%) 부문의 판매가 꾸준히 늘어 15개월 연속 두 자릿수 매출증가를 유지했다. 4월 편의점 점포 증가율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2.7% 상승했고, 점포당 매출액도 4.8% 증가했다. 점포 증가율은 지난해 11월(10.7%) 이후 6개월 동안 두 자릿수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점포당 매출액은 올해 1월(17.5%) 이후 4개월 연속 하락세다.

SSM은 전채 매출액의 37.6%를 차지하는 농축수산물 판매가 감소하면서 전체 매출이 한 달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계란가격 하락으로 판매액 감소, 꽃게·고등어 등의 조업량 감소, 공물소비 감소 등이 매출하락에 영향을 줬다.

세종=현상철 기자 hsc329@

뉴스웨이 현상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