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노는 청년 늘고 있다···청년실업률 7개월來 최고(종합)

노는 청년 늘고 있다···청년실업률 7개월來 최고(종합)

등록 2016.02.17 09:27

현상철

  기자

공유

1월 취업자 33만9000명···고용률 4개월 동안 감소세실업률 6개월 만에 최고···청년실업률 9.5% 전월比 1.1%p ↑

사진 = pixabay사진 = pixabay


올해 1월부터 고용지표가 완전히 얼어붙었다.

고용률은 낮아지고 실업률은 반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청년실업률은 전달보다 1.1%포인트나 급등했고, 체감실업률도 10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고용동향’을 보면, 취업자는 총 2544만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3만9000명 증가했다.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 실업률 등은 지난해와 비교해 나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61.1%, 58.8%로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0.1%포인트 상승했다.

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2%로 지난해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전체 실업률은 3.7%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0.1%포인트 하락했다.

하지만 좀 더 뜯어보면 고용지표가 개선됐다고 보기는 힘들다.

지난해 11월 28만5000명으로 추락한 취업자는 12월 49만5000명으로 급증했지만, 다시 30만명 대로 고꾸라졌다.

고용률은 전달과 비교해 1.1%포인트 낮아졌다. 지난해 10월(60.9%) 이후 4개월 연속 감소세다. 박근혜정부가 국정과제로 내놓은 ‘고용률 70% 로드맵’도 멀어졌다.

취업자도 50대(11만5000명)와 60세 이상(19만4000명)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20대는 4만7000명 증가했다. 15~19세는 2만2000명 감소했다.

실업률은 하락했지만 실업자는 늘었다. 실업자는 98만8000명으로 전달(86만8000명)보다 12만명 늘었다. 실업률 지난해 7월(3.7%)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다.

특히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들이 늘고 있다.

청년실업률은 9.5%로 전달보다 1.1%포인트나 급증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0.3%포인트(1만8000명) 상승해 지난해 6월(10.2%)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대학을 막 졸업한 나이인 25~29세에 해당하는 청년 실업자는 15.8%(2만8000명)나 늘어 전 연령계층에서 유일하게 실업률이 상승했다.

취업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생 등 사실상 실업자를 고려한 체감실업률은 11.6%로 지난해 3월(11.8%) 이후 10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취업준비생은 60만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4만5000명(8%) 늘었다.

취업을 희망하고 취업이 가능하지만 노동시장적 사유로 일자리를 구하지 않은 구직단념자는 51만7000명으로 지난해보다 2만6000명 많아졌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80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12만5000명(0.7%) 증가했다.

세종=현상철 기자 hsc329@

뉴스웨이 현상철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