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사도’, 강남엄마 필수 관람작··· 영조 교육방식 ‘인기’ (영재발굴단)

‘사도’, 강남엄마 필수 관람작··· 영조 교육방식 ‘인기’ (영재발굴단)

등록 2015.10.28 21:40

정학영

  기자

공유

최근 강남 엄마들 사이에서는 영화 ‘사도’가 필수 관람작이다. / 사진 = SBS ‘영재 발굴단’최근 강남 엄마들 사이에서는 영화 ‘사도’가 필수 관람작이다. / 사진 = SBS ‘영재 발굴단’


최근 강남 엄마들 사이에서 영화 ‘사도’가 필수 관람작 급부상, 화제를 모으고 있다.

28일 방송된 SBS ‘영재 발굴단’에서는 제작진이 직접 강남의 한 영화관을 찾는 모습이 그려졌다.

이날 방송에서 한 초등학교 6학년 아이와 엄마는 “영조와 사도세자의 비극적인 이야기가 현재에도 계속 되풀이 되는 것 같다”고 말하며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사도’는 사도세자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다. 조선 21대 왕 영조의 아들로 사상 최연소 왕세자다. 하지만 28세에 아버지 영조에 의해 뒤주에 갇혀 죽임을 당한 비운의 왕세자이기도 하다.

그런 가운데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사도세자는 갓 돌이 지났을 때 한자를 깨우친 영재라는 사실이 눈길을 모았다.

이날 ‘영재 발굴단’은 영화 ‘사도’를 통해 250년 전의 영재 교육을 면밀히 살폈다. 사도세자는 24개월에 이미 천자문과 소학을 시작했고 5세에는 한 달에 2번씩 20명의 스승 앞에서 시험을 봐야 했다.

그 결과 다른 왕세자들보다도 2년이나 진도가 빨랐던 사도세자는 고작 8세에 지금의 서울대라고 할 수 있는 성균관에 입학했다. 그러나 늘 영조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칭찬보다는 꾸지람 속에 자랐다.

영화를 본 아이들은 사도세자와 자신을 동일시하며 뒤주에 갇혀 사는 것만 같다고 고백했다. SNS상에서는 1인 스터디룸의 사진이 ‘현대판 뒤주’라 불리며 퍼져나가고 있다.

과연 250년 전 사도세자의 죽음이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는 무엇인지 역사 강사 설민석과 정신건강전문의 노규식을 비롯한 각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풀어봤다.

한편 이날 게스트로 함께한 심형탁은 “중학교 때 내가 밤을 새워서 공부하면 어머님도 같이 밤을 새우셨다”면서 “그걸 어머니의 사랑으로 생각하고 열심히 공부했다. 어머니의 기대에 부응하고 싶었다”고 고백했다.

정학영 인턴기자 tting5959@

관련태그

뉴스웨이 정학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