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약인가 독인가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약인가 독인가

등록 2015.10.04 16:39

최은화

  기자

공유

대형 백화점 3사 전년比 매출 급증금융당국 ‘블프’ 성공시 “GDP 0.2%P 상승 가능”
기업 옥죄는 정부 강제 규제에 소비자 피해 증가 우려도

사진=연합뉴스 제공사진=연합뉴스 제공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행사가 오는 14일까지 진행되는 가운데 국내 경제에 약이 될 수도 있지만 독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번 행사는 미국 유통가의 최대 할인행사인 ‘블랙 프라이데이’를 본떠 올해 처음 열린다. 총 2만6000여개 점포가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 중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블랙프라이데이가 시작된 후 전체 매출은 지난해보다 급격이 늘었다. 롯데백화점은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전체 매출이 전년 대비 23.6% 확대됐고 같은 기간 현대백화점도 27.6% 늘었다.

중국의 국경절(1일~7일) 효과와 맞물려 소공동 롯데백화점의 유커(중국인 관광객)매출도 급증했다. 은련카드를 기준으로 지난 1일과 2일 양일간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6% 확대됐다.

금융당국은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가 성공할 경우 3분기와 4분기에는 1%대 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9월 추석 특수와 개별소비세 인하 등 소비 진작 효과로 경제 성장률(GDP)도 0.2%포인트 상승할 것이라 예측했다.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정부가 기업을 강제로 동원해 행사를 펼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컨슈머워치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전통시장, 온라인쇼핑몰 등 대부분 유통업체가 참가한다.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는 유통업체들이 자율적으로 기획한 행사지만,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는 기업을 강제로 동원해 행사를 펼치고 있다는 것이다.

전통시장에는 오히려 악재로 작용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억지로 가격을 낮춰야 되는 상황에 영세업자들이 주를 이룬 전통시장은 더욱 힘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대형마트는 이미 싸게 팔고 있어 추가로 할인할 품목이 마땅치 않다”고 고민을 털어놨다.

이에 대해 컨슈머워치의 한 관계자는 “악화된 경기 지표에 속 타는 정부의 마음은 이해되지만 이런 이벤트로 소비가 살고 경기가 좋아질 것이란 착각은 버려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소비진작을 통해 경제 활성화 등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해 볼 수도 있지만 기업을 옥죄는 정부의 강제적 규제들로 소비자 불만이나 피해사례가 더욱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업계는 내다봤다.

최은화 기자 akacia41@

관련태그

뉴스웨이 최은화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