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지방세외수입 결손액, 3년간 1조1687억원

지방세외수입 결손액, 3년간 1조1687억원

등록 2015.09.02 14:42

문혜원

  기자

공유

과징금·이행강제금 징수율, 45.7%에 불과

지난 3년간 (2012년~2014년) 지방세외수입중 체납으로 인해 결손처리 한 금액이 1조 1687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민기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행정자치부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2일 공개한 데 따르면 지방세외수입 결손액은 2012년 3793억원이며, 2013년에는 3831억원, 2014년(추정)에는 4062억원에 달하는 등 결손처리 금액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보면 경기도의 세외수입 결손액이 2012년 913억원에서 2014년에는 1486억원으로 572억이 증가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대구광역시는 231억원에서 331억원으로 100억원 증가했다.

지방세외수입금은 지방자치단체가 행정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법률에 따라 부과·징수하는 조세 외의 금전으로서 과징금, 이행강제금, 부담금, 과태료 등이 있다.

부담금에 대한 징수율은 2012년 91%, 2012년 89.8%, 2014년 90.3%로 3년간 평균 90.3%로 나타난 반면, 과징금 및 이행강제금은 2012년 42.1%, 2013년 46.4%, 2015년 49.1%로 3년 평균 징수율이 45.7%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지난해 11월에 ‘지방세외수입금의 징수 등에 관한 법률’ 시행으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체납자에 대한 독촉이나 압류 등 명확한 체납 처분 규정을 적용할 수 있어 지방세수 확보를 위해 징수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고 예상했다.

이어 “과징금이나 이행강제금 등 세외수입 징수율을 높이는 것은 성실납부자와의 형평성 측면과 지방재정 확충을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며 “체납액 정리 실적을 높이기 위해 결손처리를 하는 것 보다, 지방자치단체가 징수 활동을 강화해 체납율을 감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혜원 기자 haewoni88@

뉴스웨이 문혜원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