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30대 기업 고용 정체현상 뚜렷···고용 규모 1.3% 증가 그쳐

30대 기업 고용 정체현상 뚜렷···고용 규모 1.3% 증가 그쳐

등록 2015.04.08 09:28

정백현

  기자

공유

정규직 증가세 더딘 대신 비정규직 빠르게 증가···직원 증가율 1위는 신세계그룹

지난해 국내 30대 기업들의 신규 인재 채용이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발표한 지난해 말 기준 30대 그룹 274개 계열사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30대 그룹 내 계열사에서 일하는 직원들의 수는 102만3574명으로 2013년보다 1.3% 늘어나는게 그쳤다.

이는 지난해 국내총생산 기준 실질 경제성장률인 3.3%에도 미치지 못하는 성과임은 물론 2013년의 고용 증가율(1.6%)에도 못 미치는 기록이다.

고용 형태에서는 정규직의 고용 증가가 정체된 반면 계약직, 현장 채용직, 시간제근로자 등 비정규직에 대한 고용은 훨씬 크게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정규직 근로자 수는 94만5810명으로 2013년보다 1.0% 늘었다. 반면 계약직 근로자는 총 7만7764명으로 2013년보다 4.2% 증가했다.

정규직 근로자의 증가 속도가 더디고 계약직 근로자의 수가 빠르게 늘어남에 따라 정규직 직원의 비중은 92.6%에서 92.4%로 0.2%포인트 떨어졌다.

그룹별로는 신세계그룹이 2013년보다 직원 수가 8.6% 늘어 1위를 기록했다. 신세계 계열 9개 기업 직원 수는 4만877명이며 이 중 신세계SVN의 합병과 신규 채용, 이마트, 에브리데이리테일 등의 계열사 인력 확충 등으로 각각 1700여명, 743명, 619명이 늘었다.

2위는 현대자동차그룹으로 14만2764명에서 15만672명으로 5.5% 늘었다. 현대차는 신규 채용 등으로 1800명(2.9%) 이상 증가했고 현대엔지니어링은 합병 등의 사유로 1000명 넘게 늘었다. 현대캐피탈은 파견직을 계약직으로 직접 고용하면서 1000명 이상 증가했다.

5.1%의 고용 증가율을 기록한 현대백화점그룹이 3위를 차지했고 뒤이어 롯데그룹(3.9%), 한화그룹(3.1%), 포스코패밀리(3.0%), 현대중공업그룹(2.8%), 대우조선해양그룹(2.3%), 삼성그룹(1.9%), 에쓰오일(1.7%) 등이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대우건설과 동부그룹, 영풍그룹과 KT, 현대그룹, CJ그룹 등은 2013년에 비해 5% 이상 고용 규모가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대우건설은 6382명에서 5543명으로 직원 수가 줄어 감소율 1위(13.1%)에 올랐다. 더불어 제조 부문 계열사 구조조정에 나선 동부그룹이 11.3%의 감소율로 뒤를 이었다. 이어 영풍(-9.6%), KT(-7.4%), 현대(-6.4%), CJ(-5.6%) 등이 5% 이상 고용 규모를 줄였다.

재직 직원 수가 가장 많은 곳은 삼성으로 23만3797명으로 집계됐다. 이어 현대차(15만672명), LG(12만2331명), 롯데(6만649명), SK(5만5387명) 순이었다. 이들 5대 그룹의 직원 수는 30대 그룹 전체의 60.8%를 차지했다.

30대 그룹 중 정규직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OCI였다.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8개 계열 기업의 직원 5737명 중 5626명(98.1%)이 정규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영풍(97.7%), 효성(97.5%), 미래에셋·대우조선해양(각 97.0%), LG(96.9%) 순으로 정규직 비중이 높았다.

대우건설은 계약직 비중이 25.1%로 가장 높았다. KT(22.5%), 대림(20%), 금호아시아나(12.4%), 한화(12.1%), 신세계(11.1%), 롯데(10.5%) 등도 계약직 비중이 10%를 넘었다.

박주근 CEO스코어 대표는 “최근 3년간 조사한 결과 고용 증가율이 1%대를 벗어나지 못했는데 이는 실제로 고용을 안 늘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정부의 독려를 무색케 한다”면서 “양질의 일자리인 30대 그룹의 고용이 늘지 않는 건 우려할 만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정백현 기자 andrew.j@

뉴스웨이 정백현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