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1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내수 침체에도 상반기 수입차 최다 판매···전년比 26.5%↑

내수 침체에도 상반기 수입차 최다 판매···전년比 26.5%↑

등록 2014.07.10 11:00

김은경

  기자

공유

상반기 車 수출액 255억弗···역대 최대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제공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내수 경기 침체 속에서 올 상반기 수입차가 사상 최다 판매를 기록하면서 시장 규모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유럽연합(EU) 등 선진국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증가로 상반기 자동차 수출액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0일 발표한 ‘자동차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올 1~6월까지 상반기 수입차 판매는 전년동기대비 26.5% 증가한 9만4263대로 집계됐다. 점유율도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으로 9.9%에서 11.7%로 증가했다.

자동차 생산의 경우 주간 연속 2교대제 시행으로 업무시간이 줄어들었지만 지난해 같은기간 보다 2.6% 증가한 234만2578대로 집계됐다. 내수 판매도 민간소비 침체속에서도 80만7063대를 기록, 전년동기대비 7.3% 증가했다. 이 가운데 국산차 판매는 5.2%, 수입차는 26.5% 가량 늘었다.

수출의 경우 전년동기대비 0.4% 증가한 159만6198대로 집계됐다. 수출액 기준으로는 255억3000만달러로 전년에 비해 4.1% 늘어 상반기 기준으로 최대 실적을 올렸다.
미국과 EU 등 주요시장의 경기 회복세가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고부가가치 차종 선전으로 인한 평균 수출가격 상승 영향도 작용했다.

산업부는 하반기 자동차 산업이 생산(0.9%), 내수(0.7%), 수출(6.9%) 모두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주요 수출국의 경기회복, 신모델 출시, 한-EU FTA 추가 관세인하에 따른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원/달러 환율 하락 지속여부가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6월 자동차 실적은 내수의 경우 디젤승용차를 포함한 신차효과와 수입차의 판매 증가로 전년동기대비 10.1% 증가한 13만9864대로 집계됐다. 반면 생산과 수출은 각각 4.5%, 8.2% 감소했다. 수출모델 교체(YF쏘나타→LF쏘나타), 지난해 말부터 진행된 한국지엠의 쉐보레 유럽법인 철수 등이 요인으로 작용했다.

김은경 기자 cr21@

뉴스웨이 김은경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