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국내 기업, 지재권 피해 늘었다

국내 기업, 지재권 피해 늘었다

등록 2013.12.08 11:00

김은경

  기자

공유

지재권 피해 기업 2011년 4.3%→2012년 5.6%

지난해 보다 상표권, 영업비밀 등 지식재산권 침해를 받은 기업이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7일 무역위원회와 특허청이 한국지식재산연구원과 시행한 지식재산권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식재산권 침해를 받은 기업은 2011년 4.3%에서 2012년 5.6%로 증가했다. 연평균 60건 이상 출원한 기업 중 지식재산권 침해를 받은 기업의 비율은 20.2%였다.

지식재산권 침해 유형별로 보면 특허권 39.7%, 상표권 27.7%, 디자인권 21.9%, 실용신안 5.0%, 영업비밀 2.3%를 차지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상표권과 영업비밀 침해가 증가했다. 2011년 유형별 비중은 특허권(40.5%), 상표권(14.3%), 디자인권(40.9%), 실용신안(3.7%), 영업비밀(0.6%) 등이었다.

침해제품은 국내에서 82.7%, 중국에서 18.2%가 제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 유형별로는 대리점·시장 등 오프라인에서 83.5%, 인터넷·홈쇼핑 등 온라인에서 29.5%가 유통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개별기업의 지재권 침해에 대한 대응방법은 경고장을 발송한 경우가 46.0%로 가장 많았다. 소송 등 사법적 구제를 신청한 경우는 31.4%, 무역위, 관세청 등 행정기관에 단속 또는 조사를 요청한 경우가 18.2%였다.

무역위 관계자는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지식재산권 침해사례에 대한 불공정무역행위 조사를 강화할 것”이라며 “특히 특허권, 상표권, 영업비밀 침해를 중심으로 조사활동을 벌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기업의 지식재산 담당조직 및 인력 등 인프라 현황, 특허정보 활용현황, 특허권 등 도입현황, 연구개발 성과물의 보호전략, 지식재산권의 매각 및 이전 현황 등 기업과 연구기관의 지식재산활동 전반에 대해 이뤄졌다. 보고서는 무역위원회 홈페이지와 특허청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아 볼 수 있다.

김은경 기자 cr21@

뉴스웨이 김은경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