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건설 관련 8개 부담금 고지서 하나로 통합

건설 관련 8개 부담금 고지서 하나로 통합

등록 2013.06.18 20:40

장원석

  기자

공유

개발사업 인·허가를 받을 때 최대 8개까지 별도로 납부해야 했던 부담금 납부절차가 간편해진다.

기획재정부는 18일 2013년 제3차 부담금운용심의위원회를 열고 건설 관련 부담금을 통합징수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부담금 제도 개선방안을 의결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부담금이란 공익사업과 관련해 재화나 용역의 제공과 관계없이 부과하는 조세 이외의 금전지급 의무를 말한다.

개선안에 따르면 건설·개발사업 인·허가 시 부과되는 8개의 부담금을 통합고지서로 부과·징수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그동안 건설·개발사업을 하는 경우 사업 과정에서 최대 19개의 부담금이 별도 고지서로 부과돼 납부자의 불편을 가져온다는 지적이 많았다.

정부는 이 가운데 농지보전부담금 등 사업 인·허가나 승인 시 부과하는 8개 부담금을 통합고지서로 부과해 징수 창구를 일원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내년까지 부담금 부과절차와 볍령을 정비하고 2015년 2∼3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시범사업을 거친 뒤 전국 단위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이날 훼손지 복구 의무를 완화하는 내용의 개발제한구역 보전부담금 부과기준 변경안도 의결했다.

변경안은 개발제한구역 해제대상지역 개발 시 개발사업자가 훼손지 복구 의무 이행 대신 부담금 납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해 개발사업을 할 때에는 사업 시행자가 반드시 해제지역의 10~20%에 해당하는 훼손지를 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

이 경우 조성 대상지 선정이 어렵고 대상지로 선정된 지역 내 건축물 철거로 주민들과 마찰이 발생해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있었다.

현 규정에서도 부득이한 경우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훼손지 복구 대신 부담금을 납부할 수 있지만 절차가 복잡하고 기간도 3∼4개월 정도 소요돼 개발사업 지연을 초래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정부는 절차가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이유로 사업자가 부담금 납부만을 선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담금 부과요율을 해제 대상지역 개별공시지가 평균의 10%에서 20%로 변경할 방침이다.

위원회는 개발제한구역 안에 도로, 공원을 설치할 때 부과하는 개발제한구역 보전 부담금의 최소 부담금액을 설정하는 내용도 의결했다.

개발지역과 주변지역의 자가차액에 근거해 부담금을 산정하는 부과 구조상 수도권 등 개발지역 지가가 높은 경우 부과액이 없는 경우가 발생해왔다.

위원회는 이날 부담금 납부를 국세·지방세와 같이 신용카드나 인터넷(홈택스·위택스)으로 납부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안도 의결했다.

이밖에 ▲징수대행 수수료 차등지급 ▲방송통신발전기금 분담금의 권리구제절차 명문화 ▲국민건강증진부담금 가산금 요율 합리화 ▲의약품부작용피해구제 사업비용 부담금 정비 방안 등도 의결됐다.

지난해말 기준 부담금관리기본법의 관리를 받는 부담금은 총 97개이며 징수액은 15조7000억원에 달한다.

장원석 기자 one218@

관련태그

뉴스웨이 장원석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