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 서울 28℃

  • 인천 28℃

  • 백령 25℃

  • 춘천 25℃

  • 강릉 24℃

  • 청주 28℃

  • 수원 28℃

  • 안동 25℃

  • 울릉도 27℃

  • 독도 27℃

  • 대전 26℃

  • 전주 26℃

  • 광주 26℃

  • 목포 26℃

  • 여수 26℃

  • 대구 26℃

  • 울산 26℃

  • 창원 25℃

  • 부산 26℃

  • 제주 25℃

전기차 배터리 검색결과

[총 76건 검색]

상세검색

SK온·SK엔무브 전격 합병···"합병은 선택 아닌 필수 과제"(종합 2보)

에너지·화학

SK온·SK엔무브 전격 합병···"합병은 선택 아닌 필수 과제"(종합 2보)

"배터리 사업은 이미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파트너사, 사이트들, 제조역량을 바탕으로 기술과 원가경쟁력을 강화해 수익성과 성장성을 확보해 나갈 계획입니다." 장용호 SK이노베이션 총괄 사장은 30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열린 'SK이노베이션 기업가치 제고 전략 설명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설명회는 현장과 온라인 생중계로 동시 진행됐으며, 자리에는 장 사장을 비롯한 이석희 SK온 사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모회

"재무구조 높이고 상장 불씨"···SK온·엔무브, 통합법인으로 새출발(종합)

에너지·화학

"재무구조 높이고 상장 불씨"···SK온·엔무브, 통합법인으로 새출발(종합)

SK그룹 전기차 배터리 기업 SK온과 윤활유·액침냉각 전문 SK엔무브가 하나의 법인으로 새롭게 출발한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속 실적과 IPO(기업공개) 부담을 떠안은 배터리 부문을 살리고 양사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사업 구조를 고도화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30일 SK이노베이션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SK온과 SK엔무브의 합병을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두 기업의 통합은 SK온이 SK엔무브를 흡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

SK이노베이션, SK온·SK엔무브 합병 결의

에너지·화학

SK이노베이션, SK온·SK엔무브 합병 결의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자회사 SK온이 윤활유 전문 계열사 SK엔무브를 흡수합병한다. 전기화 관련 사업 간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글로벌 물류 효율을 높여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이다. SK이노베이션은 30일 자회사 SK온과 SK엔무브의 합병을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존속법인은 SK온이며, SK엔무브는 소멸법인이 된다. 합병 비율은 1 대 1.16616742로 산정됐으며, 합병 신주 발행주식 수는 66,466,968주다. SK이노베이션은 미래 핵심 성장동

LG엔솔로 선방했던 LG화학···2분기 실적도 '흔들'

에너지·화학

LG엔솔로 선방했던 LG화학···2분기 실적도 '흔들'

지난 1분기 LG에너지솔루션의 깜짝 실적에 힘입어 실적 방어에 성공한 LG화학이 올해 2분기에는 전기차 업황 둔화에 다소 부진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실적 하락의 주요 요인은 전기차 시장 위축에 따른 배터리 출하량 감소로 분석된다. 4일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LG화학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1조6571억원, 영업이익 3303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매출은 전년 동기(12조2997억원) 대비 5.2% 줄고, 영업이익

LMR 시장 개화···특명 'LFP 산'을 넘어라

에너지·화학

[전소연의 배터리ZIP]LMR 시장 개화···특명 'LFP 산'을 넘어라

요즘 전기차 시장의 분위기가 심상치 않습니다. 비용은 더 저렴해야 하고, 성능도 더 좋아야 한다는 고객사들의 기대치가 반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싸고 안전한 배터리로 주목받았던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도 점점 한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 틈을 파고들며 조용히 주목받고 있는 이름이 있습니다. 바로 LMR(리튬·망간·리치) 배터리입니다. LMR 배터리, 이름부터 생소하시죠? 이름은 낯설지만, 전 세계 배터리 업계에서는 이미 오래 전

범GS家 허제홍의 외줄타기···엘앤에프 재무위기 무릅쓰고 'LFP 베팅'

에너지·화학

범GS家 허제홍의 외줄타기···엘앤에프 재무위기 무릅쓰고 'LFP 베팅'

엘앤에프가 3000억원 규모의 분리형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발행하며, 재무 부담에 막혀 있던 LFP(리튬인산철) 양극재 사업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 장기 적자와 부채로 지연됐던 투자에 숨통이 트이면서 국내외 생산기지 확보와 수주 확대에 속도가 붙을지 주목된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엘앤에프는 전날 총 3000억원 규모의 분리형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발행한다고 공시했다. 엘앤에프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시설투자(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