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2일 수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17℃

목포 16℃

여수 16℃

대구 16℃

울산 16℃

창원 18℃

부산 18℃

제주 18℃

증권 HD현대미포, 삼중 모멘텀에 주가 67% 급등··· 리레이팅 2막 시동

증권 종목

HD현대미포, 삼중 모멘텀에 주가 67% 급등··· 리레이팅 2막 시동

등록 2025.10.22 15:54

문혜진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코스피 사상 최고가 속 HD현대미포 주가 연초 대비 67% 상승

3분기 실적 호조, 합병 시너지, 방산·특수선 업황 개선 기대감 반영

증권가, 구조적 성장 가능성에 주목

숫자 읽기

HD현대미포 22일 종가 23만3500원, 전일 대비 4.24% 상승

3분기 영업이익 1170억~1280억원 추정, 시장 컨센서스 950억원 상회

키위레일 프로젝트 해지 합의금 300억원 일회성 이익 반영

자세히 읽기

원·달러 환율 상승, 베트남 법인 호조로 수익성 개선

고가 선종 비중 증가, 매출 믹스 개선

자동용접·로봇 시스템 도입, 외업 공정 자동화율 80%로 상승

생산 효율화로 영업 레버리지 효과 확대

향후 전망

12월 1일 HD현대중공업과 합병 완료 예정

두 개 도크 방산·특수선 전용 전환, 고부가 선종 중심 수주 포트폴리오 재편

조선 경기 변동에 덜 민감한 안정적 수익 구조 구축 목표

핵심 코멘트

합병, 단순 구조조정 아닌 실질적 시너지 창출 단계(유안타증권)

도크 전환 과정 가동률 변동 가능성, 자동화율 개선이 장기 경쟁력 강화로 연결(대신증권)

특수선 확대가 그룹 리레이팅 핵심 요인(LS증권)

증권가,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상회 전망합병 이후 방산·특수선 중심 구조 전환 기대감 확대

HD현대미포, 삼중 모멘텀에 주가 67% 급등··· 리레이팅 2막 시동 기사의 사진

코스피가 사상 최고가 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HD현대미포 주가가 연초 대비 약 67% 상승했다. 3분기 실적 호조 전망과 합병 시너지, 방산·특수선 업황 개선 기대가 동시에 맞물린 결과다. 증권가는 단기 실적 개선을 넘어 구조적 성장 가능성이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HD현대미포는 전 거래일 대비 4.24% 상승한 23만3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11% 가까이 급등한 데 이어 연속 오름세를 유지하는 모양새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주가 급등의 배경으로 3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가능성을 꼽고 있다. HD현대미포의 3분기 영업이익은 1170억~1280억원으로 추정되며, 시장 컨센서스(950억원 내외)를 웃돌 전망이다.

지난해 취소됐던 뉴질랜드 키위레일 Ro-Pax 프로젝트 해지 합의금 약 300억원이 일회성 이익으로 반영됐고, 원·달러 환율 상승과 베트남 법인(HVS)의 호조가 수익성 개선을 뒷받침했다. 비수기에도 고가 선종 비중이 확대되면서 매출 믹스가 개선된 점도 실적을 견인했다.

자동용접과 로봇 시스템 도입 등 생산 효율화가 본격화된 점도 주목 요인이다. 외업 공정 자동화율은 기존 58% 수준에서 80% 가까이 높아졌다. 인력 의존도가 줄고 생산 단가가 안정되면서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확대되고 있다는 평가다.

합병 이후의 변화는 중기 성장의 핵심 변수로 꼽힌다. HD현대미포는 오는 12월 1일 HD현대중공업과의 합병을 완료하고, 전체 4개 도크 중 두 곳을 방산·특수선 전용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쇄빙선·해양초계함(OPV)·군수지원함 등 고부가 선종을 중심으로 수주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며, 조선 경기 변동에 덜 민감한 안정적 수익 구조를 구축하는 전략이다.

김용민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합병은 그룹 내 단순한 구조조정이 아니라, 방산·특수선 수주 확대를 위한 실질적 시너지 창출 단계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지니 대신증권 연구원은 "도크 일부를 특수선·방산 도크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설비 전환 기간에 따라 가동률이 변동될 여지가 있지만, 자동화율 개선이 중장기 생산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조선업 전반의 업황 역시 긍정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국내 주요 조선사들이 LNG선과 특수선 중심의 '고부가 선종 사이클'에 진입하면서 업황 전반이 구조적으로 재편되는 흐름이다.

이재혁 LS증권 연구원은 "MASGA 프로젝트를 비롯한 특수선 확대 기조가 장기 사이클의 중심에 있다"며 "HD현대미포의 방산·특수선 전환이 그룹 내 리레이팅의 핵심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