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2.5조 증가···6·27 대책 영향에 증가폭 축소기업대출 5.3조↑···중기대출 4조·대기업 1.3조 증가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9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170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대비 2조원 늘어난 수치로 8월(4조1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상당폭 축소됐다.
주택담보대출은 2조5000억원 증가해 전월(3조8000억원) 대비 둔화했다. 정부의 6·27 대책 영향이 지속된 데다 계절적 요인으로 전세자금 수요도 감소하며 증가폭이 축소된 것으로 풀이된다.
전세자금대출은 2000억원 줄며 감소 전환했다. 기타대출 또한 5000억원 감소하며 감소 전환했다. 신용대출 한도 축소 효과가 지속되는 가운데 분기말 부실채권 매·상각 영향이 더해진 것으로 분석된다.
박민철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 구입 목적 주담대가 비교적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생활자금형 주담대 및 기타대출은 감소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특히 9월 비은행권에서 부실채권 매·상각 규모가 예년에 비해서 확대되며 기타대출 감소폭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지난 8월 3만4000호로 전달(3만5000호)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7월 1만4000호에서 8월 1만5000호로 소폭 늘었다.
박 차장은 "지난 15일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최근 수도권 주택 시장이 과열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발표된 것이기에 반가운 소식"이라며 "다만 아직은 대책 효과를 판단하기는 이른 시점이라 시간을 두고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9월 은행 기업대출은 5조3000억원 늘며 전월(8조4000억원) 대비 증가 규모가 축소했다.
중소기업대출은 부실채권 매·상각에도 주요 은행들의 대출영업 확대, 추석자금 수요 등으로 4조원 증가했다. 대기업대출은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일시 상환, 회사채 발행을 통한 상환 등으로 지난 8월(3조8000억원) 대비 9월(1조3000억원) 증가규모가 상당폭 축소했다.
지난달 회사채 순발행 규모는 1조8000억원 늘어났다. 견조한 투자수요, 10월 장기연휴에 따른 선조달 등이 맞물리며 순발행 전환했다. 기업어음(CP)·단기사채는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단기부채 상환 등으로 순상환 규모가 확대했다.
박 차장은 "기업대출이 전월에 비해 증가 규모가 축소되긴 했지만 은행들이 기업 여신을 확대하는 영업 전략을 펼치고 있다"며 "공급 측면에서는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반사 효과로 은행들이 계속 기업 여신을 확대하는 전략을 가져갈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9월 은행 수신은 31조9000억원 늘어나며 전달(32조9000억원)과 비슷했다. 수시입출식예금은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 등을 위한 법인자금 유입 등으로 35조5000억원 늘어났다. 정기예금은 지자체 재정집행, 기업 추석자금 수요 등으로 4000억원 줄며 감소 전환했다.
지난달 자산운용사 수신은 머니마켓펀드(MMF)가 큰 폭으로 유출되면서 4조2000억원 감소하는 등 감소 전환했다. MMF는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법인자금 유출, 재정집행을 위한 국고자금 인출 등으로 28조원 줄었다. 반면 주식형펀드가 10조9000억원 늘었고 기타펀드 역시 11조5000억원 증가하며 유입세가 지속됐다.

뉴스웨이 문성주 기자
moonsj7092@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