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삼일PwC, 보스턴컨설팅그룹, 대형 로펌 등과 계약을 맺고 자문단을 꾸려 HMM의 사업성을 검토 중이다.
포스코 측은 "인수를 전제로 한 것은 아니며 그룹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지 살펴보는 차원"이라며 "인수 추진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내놨다.
HMM 대주주는 산업은행(36.0%)과 한국해양진흥공사(35.7%)다. 다만 HMM이 진행 중인 자사주 공개매수가 12일 마무리되면 양측의 지분율은 각 30% 초반으로 떨어진다.
포스코는 산업은행 보유 지분을 사들여 최대주주에 오르는 한편, 해진공과 공동으로 경영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HMM의 시가총액은 23조원 수준이며, 포스코홀딩스의 현금성 자산은 상반기말 기준 약 7조원이다. 따라서 외부에서는 산업은행 측 지분을 확보하는 시나리오엔 무리가 없을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산업은행과 해진공은 지난해 하림그룹과의 협상이 결렬된 뒤 HMM 매각을 잠정 중단했는데, 현재 공석인 산업은행 회장이 임명되면 재도전에 나설 전망이다.
그간 포스코는 'HMM 민영화' 계획이 공개될 때마다 인수 후보로 거론됐지만, 매번 선을 그은 바 있다. 그러나 철강과 이차전지 사업의 고전이 길어지자 새로운 동력 확보의 일환으로 해운업에 관심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는 포항제철 시절 해운사 거양해운을 운영했다가 1995년 이를 한진해운에 넘기면서 해운업에서 손을 뗀 바 있다.

뉴스웨이 황예인 기자
yee9611@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