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유통·바이오 케이캡, PPI 대비 우월성 입증···美 3상 성공적 톱 라인 발표

유통·바이오 제약·바이오

케이캡, PPI 대비 우월성 입증···美 3상 성공적 톱 라인 발표

등록 2025.04.24 10:22

이병현

  기자

공유

미란성·비미란성 식도염 광범위 효과 확인세벨라, FDA 신약허가신청 돌입 준비

HK이노엔 케이캡 제품 사진. 사진=HK이노엔 제공HK이노엔 케이캡 제품 사진. 사진=HK이노엔 제공

HK이노엔의 위식도 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이 미국 3상 임상시험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에 청신호를 켰다. HK이노엔의 미국 파트너사 세벨라는 두 건의 3상 임상시험 'TRIUMpH'의 주요 결과를 2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임상시험은 미란성 식도염(EE)과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NERD)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케이캡은 1차 및 2차 평가지표를 모두 충족했다. 특히 미란성 식도염 환자군에서는 2주 및 8주차 치유율이 PPI(란소프라졸) 대비 우수함을 입증했다.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에서는 위산 역류와 24시간 및 야간 가슴 쓰림 증상에서 위약 대비 유의미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

케이캡은 2021년 HK이노엔이 미국 세벨라에 기술이전을 한 후 3년 만에 성공적 결과를 보이며 미국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세벨라는 이번 임상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4분기 미국 FDA에 신약허가신청(NDA)을 제출할 계획이다.

앨런 쿡 세벨라 사장 겸 CEO는 "케이캡이 미란성 식도염 및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다"라며 "기존 PPI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펠리스 슈놀-서스먼 와일 코넬 의과대학 임상 의학 교수는 "테고프라잔이 PPI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P-CAB 계열의 약물이 기존 치료법에 비해 상대적인 장점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곽달원 HK이노엔 대표는 "케이캡이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서 3상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친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며, "세벨라와 협력해 글로벌 시장에서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표준을 확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케이캡은 2019년 국내 출시 이후 2024년까지 7054억원의 처방실적을 기록했다. 국내 포함 48개국과 기술수출 또는 완제수출 계약을 체결했고, 15개국에서 이미 출시됐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