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산업 "사실과 다르다"···한전, 상임감사위원 논란에 '반박'

산업 에너지·화학

"사실과 다르다"···한전, 상임감사위원 논란에 '반박'

등록 2024.10.25 16:32

황예인

  기자

공유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한국전력공사가 직원 이메일 무단 열람, 연수원 과다 이용 등 전영상 상임감사위원 관련 논란에 반박하고 나섰다.

25일 한국전력은 참고자료를 통해 "최근 불거진 상임감사 관련 논란은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한전 측은 "R&D 감사 대상이 된 연구직 인원 중 취임 이후 현재까지 정년퇴직, 희망퇴직 등을 제외한 실질적 의원면직 인원은 12명, 휴직은 22명으로 전임감사 재임 기간과 거의 동일한 규모로 특별히 증가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한전 감사실은 향후 R&D 연구관리 전반에 대한 잘못된 관행을 개선하고, R&D 예산 낭비의 근절을 위한 종합적인 연구관리 개선 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방침이다.

또 한전 감사실은 직원 이메일, CCTV를 열람했다는 의혹을 놓고는 "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등 관련 법률, 법원 판례 등을 참고해 법률에 저촉되지 않도록 필요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열람했다"고 일축했다.

아울러 전 감사위원 출신 학회의 토론회 비용을 지출했다는 논란엔 "토론회는 경영진의 일원으로 합리적 에너지 정책을 모색해 경영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개최한 것"이라며 "감사업무와 무관하지 않고, 발생한 비용을 모두 합하더라도 타 포럼의 연회비에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감사자문위원회는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운영 중이며, 자문위원은 공모 등을 통해 실질적 자문역량이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공정하게 선정했다"며 "구체적인 자문내역이 있는 경우에 한 해 내부 기준에 따라 자문위원의 전문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의 자문료를 지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전 감사위원의 과도한 연수원 사용과 관련해선 "회사 규정에 따라 이용한도 범위 내에서 적정하게 연수원을 사용했다"고 반박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