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부동산 노후 도시 선도지구 지정 앞두고 1기 신도시 vs 서울 온도 차···이유는?

부동산 도시정비

노후 도시 선도지구 지정 앞두고 1기 신도시 vs 서울 온도 차···이유는?

등록 2024.05.01 03:21

장귀용

  기자

공유

국토부, 5월에 지구 지정 기준 발표···주민 동의에 열 올리는 1기 신도시수서‧가양‧상계 등 서울 내 택지는 잠잠···서울시 후속 조치 향방에 촉각1기 신도시는 각 시장이 적극 나서···서울은 구청이 권한 없어 시 눈치

노원구의 재건축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장귀용 기자노원구의 재건축 아파트 밀집 지역. 사진=장귀용 기자

1기 신도시 내 단지들이 노후계획도시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노후도시특별법) 적용 동의서를 모으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정부가 다음 달 중순께 '선도지구'의 지정 기준을 발표하기로 해서다. 반면 서울시에선 특별법 적용 대상 지역을 아직 확정하지 않은 탓에 별다른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정비업계 등에 따르면 국토부는 다음 달 중으로 노후계획도시 특별법 적용 선도지구 선정 기준 등을 발표할 계획이다. 동의율이 높고 통합 재건축 조건을 갖춘 단지를 대상으로 항목별 점수를 매기는 방안이 유력하다. 선정 규모는 신도시별로 총정비 대상 가구 수의 5~10% 수준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1기 신도시 내 단지들은 선도지구 지정을 받기 위해 동의율 확보에 각축전을 벌이는 모양새다. 선도지구로 지정받지 못하면 재건축 시기가 한참 뒤로 밀릴 수 있다는 위기의식 때문이다. 정부에서 반대율을 도입해 반대 민심이 강한 곳을 배제하겠다는 의중을 내비치면서 반대 목소리 잠재우기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1기 신도시 중에는 분당과 일산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이 벌어지고 있다. 각 재건축 추진위원회에 따르면 성남시 분당 일대 재건축 대상 단지들과 고양시 일산 일대 단지들 상당수의 노후도시특별법 지정 동의율이 80%를 넘어섰다. 분당에선 정자일로 단지가 동의율이 85%에 육박한 상태다. 이외에 ▲삼성한신 ▲상록마을라이프가 80%를 넘겼다. 일산에선 일산 강촌 1·2단지와 백마 1·2 단지가 동의율 80%를 돌파했다.

1기 신도시가 동의율 확보에 열을 올리는 것은 정부가 법안 제정 추진 당시부터 동의율이 높은 곳을 선도지구로 지정하겠다는 의중을 내비쳐 왔기 때문이다. 각 1기 신도시의 지자체장들도 전문가를 총괄기획가(MP)로 영입해 적극적인 지원을 펼쳤다. 이 덕분에 1기 신도시 내 상당수 단지는 통합 재건축방식을 포함한 자체적인 구획정리도 마친 상태다.

반면 서울시는 1기 신도시와 다르게 잠잠한 상태다. 서울엔 수서 택지와 가양‧등촌택지, 상계‧창동택지, 중계‧하계택지 등 특별법 적용이 가능한 대규모 택지가 있다. 다만 택지가 있는 강남구와 강서구, 노원구‧도봉구청에서 특별법 추진과 관련한 별다른 움직임이 없다.

1기 신도시와 서울 내 택지의 온도 차는 서울 내 자치구들과 1기 신도시가 속한 시가 가지고 있는 권한이 달라서다. 노후도시특별법을 적용하는 지역을 지정하는 것은 특별시와 광역시의 시장과 각 도의 도지사, 서울을 제외한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의 시장에게 권한이 있다. 서울에선 서울시가 지정 권한을 가졌지만 1기 신도시는 각 시장이 지정 권한을 갖고 있다. 서울 내 자치구들은 서울시가 후속 조치를 내놓아야만 구체적인 활동 근거가 생기는 것.

정비업계 관계자는 "1기 신도시가 특별법과 관련해 정부와 수시로 직접 소통하는 것과 달리 서울에선 서울시청이 정부와 협의를 하고 있고, 일선 자치구들은 그 결과를 기다리는 상황"이라면서 "서울시에서 특별법에 따른 조례제정 등 후속 조치를 해야 움직임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서울시는 서울시대로 고민이 많은 눈치다. 대규모 개발로 인한 전세대란 등의 문제와 공급과잉에 따른 부동산 문제, 인구 증가로 인한 교통 문제 등 검토해야 할 부분이 많아서다. 공공기여 비율 산정 기준도 고민거리다.

일각에서는 서울시가 노후도시특별법을 적용하지 않고 자체 지구단위계획으로 택지를 정비할 수 있다는 말도 나온다.

실제로 서울시에선 지난 19일 '서울시 지구단위계획 용적률 체계 개편 방안'을 발표하면서 도시개조에 시동을 걸었다. 이달 초엔 '창동·상계 택지개발지구 일대 지구단위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하고 개발계획수립에 첫 발을 뗐다.

서울시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서울시는 노후도시특별법으로 지나치게 주택공급이 늘어나는 것을 경계하는 눈치"라면서 "특별법을 적용하더라도 공공기여 비율 조정을 통해 공급량을 통제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뉴스웨이 장귀용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