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코로나 청구서' 어쩌나···기업대출 연체율 7년 만에 최고

금융 은행

'코로나 청구서' 어쩌나···기업대출 연체율 7년 만에 최고

등록 2023.05.01 17:10

김현호

  기자

공유

5대 시중은행 사진=각사 제공5대 시중은행 사진=각사 제공

경제지표를 악화시키는 고금리, 인플레이션 등의 영향으로 연체율이 상승하면서 위험 관리가 금융권의 중대 과제로 떠올랐다.

1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기업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등 비은행 금융기관의 기업대출 잔액은 모두 1874조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가 발발하기 전 2019년 4분기(1263조5000억원)와 비교해 48.3%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모다. 이 중 저축은행, 상호금융, 보험사, 여신전문금융사 등 2금융권 기업대출은 같은 기간 357조2000억원에서 652조4000억원으로 82.6% 급증했다.

연체율도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비은행 금융기관의 기업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지난해 4분기 기준 2.24%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1.81%)보다 0.43%포인트(p) 뛰었고 2016년 1분기(2.44%) 이후 6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업권별 연체율은 ▲저축은행 2.83% ▲상호금융 3.30% ▲보험사 0.15% ▲여신전문금융사(카드·캐피털 등) 1.01%이다. 특히 상호금융의 경우 2020년 1분기(3.19%) 이후 처음 작년 4분기 연체율이 3%를 넘어섰다. 여신전문금융사의 연체율도 2019년 3분기(1.16%) 이후 최고 수준이다.

은행권 연체율도 코로나19 사태 직후 수준까지 올랐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2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은 0.36%로 한 달 만에 0.05%p 상승했다. 2020년 8월(0.38%)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대출 주체별로 나눠보면 기업대출(0.39%), 가계대출(0.32%) 연체율이 2월보다 0.05%p, 0.04%p씩 올랐다.

한은 자료에서도 국내은행 가계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 0.19%에서 4분기 0.24%로 3개월 사이 0.05%p 상승했다. 0.24%는 2020년 2분기(0.25%) 이후 2년 반 만에 최고 연체율이다.

또 올해 1분기 4대(KB·신한·하나·우리) 금융지주의 대손충당금은 작년 1분기(7199억원)와 비교해 2.4배 높은 1조7338억원이나 새로 쌓았다. 지주사별로 KB금융은 같은 기간 4.6배인 6682억원, 신한금융은 89.4% 많은 4610억원의 충당금을 전입했다. 하나금융은 108.5% 불어난 3432억원, 우리금융도 57.4% 증가한 2614억원의 충당금을 쌓았다.

뉴스웨이 김현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