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작년 감사보고서 정정횟수 줄고 정정시점 빨라졌다

작년 감사보고서 정정횟수 줄고 정정시점 빨라졌다

등록 2020.06.30 06:00

허지은

  기자

공유

정정횟수 1319회···전년比 214회 감소코스피·코스닥 정정 모두 줄어6개월 이내 정정이 전체 70% 초과

작년 감사보고서 정정횟수 줄고 정정시점 빨라졌다 기사의 사진

지난해 외부감사대상 회사 및 상장법인의 감사보고서 정정횟수가 전년대비 200회 이상 줄었다. 지난 2016년 이후 4년만의 감소세 전환이다. 정정시점 역시 최초 공시 이후 6개월 이내에 이뤄진 경우가 70%로 정정 경과기간은 전년대비 2개월 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30일 발표한 ‘2019년 중 감사보고서 정정현황 분석 결과 및 유의사항’에 따르면 지난해 감사보고서(연결 포함) 정정횟수는 1319회로 전년대비 214회(14%) 감소했다.

감사보고서 정정횟수는 지난 2016년 969회에서 2017년(1230회), 2018년(1533회)까지 3년 연속 증가했으나 지난해 감소했다.

시장별로 보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정정횟수는 49회로 전년(151회) 대비 102회(67.5%) 큰 폭 감소했다. 코스닥 상장사 정정횟수 역시 186회로 전년(211회)대비 25회(11.8%) 줄었다.

지난해 감사보고서를 정정한 회사는 총 1054개사로 전년(1109개사) 대비 55사(5.0%) 감소했다. 이중 상장사는 총 107개사로 전년(138개사) 대비 31사(22.5%)가 줄었으며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24개사, 코스닥 상장사 77개사, 코넥스 상장사 6개사로 조사됐다.

최초 공시 이후 정정시점까지의 경과기간도 전년대비 짧아졌다. 지난해 이뤄진 감사보고서 정정 중 ‘최초 공시 후 1개월 이내 정정’은 697회로 전체의 52.9%를 차지했다. ‘1개월~6개월 이내 정정’이 230회(17.4%)로 6개월 이내 정정이 전체의 70%를 초과했다.

지난해 정정 건의 최초 공시 후 정정시점까지의 경과기관 평균은 7.2개월로 2018년 평균(9.2개월) 대비 2개월이 짧아졌다. 감사보고서 상 오탈자나 경미한 금액 오류 등 사소한 오류를 신속하게 정정한 결과 경과기간이 짧아졌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정정 내용은 ‘재무제표 본문 정정’이 567회(43.0%)로 가장 많았고 ‘주석 정정’이 399회(30.2%), ‘감사보고서 본문 정정’ 140회(10.6%), ‘외부감사 실시내용 정정’ 117회(8.9%) 순이었다.

홍순간 금감원 회계조사국 국장은 “감사보고서 정정 전체의 30~40%가 단순 입력오류에 해당했다”며 “감사보고서가 정정되면 사소한 오류라고 하더라도 회사의 재무정보 등에 대한 신뢰가 훼손될 수 있으므로 공시 전에 잘 기재됐는지 확인하는 등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허지은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