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지분율 끌어올리는 동서그룹 오너 3세들

지분율 끌어올리는 동서그룹 오너 3세들

등록 2020.03.16 15:54

정혜인

  기자

공유

김석수 동서식품 회장, 두 아들에 총 25만주 증여동서 배당성향 50% 육박···배당으로 승계 재원 마련김종희 전무도 배당금 바탕으로 지분율 확대 꾀해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김석수 동서식품 회장의 두 아들 김동욱·현준씨가 조금씩 지주사의 지분율을 끌어올리는 등 동서그룹 오너 3세들의 지분 확대가 이어지고 있다. 동서의 높은 배당 정책을 발판으로 승계에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는 방식이다.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김 회장은 최근 장남 김동욱씨와 차남 현준씨에게 각각 지주사 동서 보통주 15만주, 10만주를 증여했다. 이번 증여로 김 회장의 지분율은 19.04%로 줄어든 대신 김동욱·현준씨의 지분율은 각각 2.37%, 2.13%로 늘어났다.

김 회장이 두 아들에게 동서의 지분을 증여한 것은 2016년 12월 각각 10만여주씩 넘긴 이후 약 3년 여만이다. 3년 사이 동서의 주가가 반토막 이상 떨어지면서 증여에 적당한 시기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김동욱·현준씨는 이번 증여에 앞서 장내 매수로 동서 지분율을 확대한 바 있다. 김현준씨는 지난해 12월 세 차례에 걸쳐 총 3만7000주를 매수했고, 김동욱씨는 이달 초 네 차례에 걸쳐 총 5만주를 사들였다. 동서의 주가가 지난달 말 약 1만8000원선, 이달 초 약 1만6000원선에 형성돼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김동욱·현준씨가 장내 매수에 투입한 자금은 약 15억원 수준이다. 장내 매수를 위한 재원은 그 동안 배당을 통해 벌어들인 자금이 사용됐을 것으로 추측된다.

동서그룹의 지주사 동서는 동서그룹의 유일한 상장사로, 동서식품, 동서유지, 동서물산 등의 지분을 절반 이상 소유하고 있다. 동서의 지분율을 끌어올리면 그룹 전체의 지배력도 끌어올릴 수 있다.

특히 동서는 1995년 증시 상장 이후 단 한 번도 배당을 거른 적이 없고, 해마다 순이익의 절반 가량을 배당으로 할 만큼 ‘고배당 정책’을 유지해온 것으로 유명하다.

오너가의 지분율이 60%가 넘는 만큼 대부분의 순이익이 오너가의 주머니 속으로 들어갔는데, 자녀들의 지분 매입이나 상속 증여세의 재원 마련 등 승계를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고배당 정책으로 오너 자녀들의 주머니를 채우고, 이 돈으로 증여세를 내거나 지분을 장내 매수하는 식으로 경영권을 승계하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5년간 동서의 배당성향은 2014년 46.7%, 2015년 54.7%, 2016년 55.9%, 2017년 56.6%, 2018년 59.2% 등으로 꾸준히 유지해왔다. 지난해 배당 역시 전년과 마찬가지로 주당 700원, 배당금총액 690억원으로 배당성향은 49.1%이다. 김동욱·현준씨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배당으로 받은 금액은 총 126억원에 달한다. 올해 받을 배당 역시 30억원에 가까울 전망이다.

김동욱·현준씨의 사촌 형인 김종희 동서 전무도 비슷한 방식으로 지분율을 크게 끌어올려왔다. 김 전무는 김상헌 전 동서 고문의 장남으로, 동서그룹 오너 3세 중 유일하게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

김 전무는 2006년 동서에 입사한 이후 부친인 김상헌 전 고문으로부터의 지분 상속과 본인의 직접 매수 방식으로 지분을 늘려왔다. 2006년 2.24%에 불과했던 김 전무의 지분율은 지난 3월 12일 기준 12.34%까지 확대돼 3대 주주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김 전무 역시 급증하는 거액의 배당금을 발판으로 지분 확대에 나선 케이스다. 2006년 결산 당시 4억6700만원이었던 김 전무의 배당금은 2013년 50억원을 넘어섰다. 지분율이 10%를 넘어선 2015년 이후 4년간 챙긴 배당금은 298억원에 이른다. 김 전무가 올해 받을 지난해 결산 배당도 86억원에 달할 예정이다.

동서그룹은 김재명 명예회장의 두 아들인 장남 김상헌 전 고문이 동서를, 차남 김석수 회장이 동서식품을 경영하는 이원화 체제로 운영돼왔다. 김상헌 전 고문은 2014년 3월 회장직에 이어 2017년 4월에는 고문직까지 내려놓으며 경영에서 한발 물러났고, 동서는 이창환 회장 중심의 전문경영인 체제로 전환했다. 현재 오너 3세 중 김종희 전무를 중심으로 승계가 이뤄지는 중이다.

뉴스웨이 정혜인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