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사상 최대 적자’ 車보험료 29일부터 최대 3.5% 인상

‘사상 최대 적자’ 車보험료 29일부터 최대 3.5% 인상

등록 2020.01.13 10:51

장기영

  기자

공유

손해보험사 평균 자동차보험 손해율 추이. 그래픽=박혜수 기자손해보험사 평균 자동차보험 손해율 추이. 그래픽=박혜수 기자

자동차보험 손해율 상승으로 사상 최대 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손해보험업계가 이달 말부터 최대 3.5% 보험료를 인상한다.

1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KB손해보험은 오는 29일(책임개시일)부터 자동차보험료를 3.5% 인상한다.

다음 달 초에는 나머지 4대 대형 손보사도 보험료를 올린다. 현대해상은 3.5%, DB손해보험은 3.4%, 삼성화재는 3.3%를 인상할 예정이다.

대형사들이 자동차보험료 인상에 착수하면서 중소형사들도 비슷한 시기 보험료를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당초 손보사들은 최소 5% 이상 보험료를 올려야 한다는 입장이었으나 최대 3.5% 수준으로 인상률이 낮아졌다. 조정 시기도 이달 초부터 인상이 유력했으나 금융당국이 사실상 가격 통제에 나서면서 늦어졌다.

손보사들은 지난해 11월 말 KB손보를 시작으로 잇따라 보험개발원에 요율 검증을 의뢰했는데 통상 2주가 걸리는 결과 회신에 한 달 이상이 걸렸다.

금융당국은 손보사들에게 보험료 인상폭을 줄일 것을 요구하면서 보험개발원이 요율 검증을 결과 회신하지 못하도록 제동을 걸었다. 금융당국은 올해 자동차보험 관련 제도 개선에 따른 1.2%가량의 보험료 인하 효과를 반영할 것을 요구한 바 있다.

이후 KB손보가 요율 검증 회신 여부와 관계없이 보험료 인상을 추진하다 금융당국의 제지로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은 손보사들이 요구를 제대로 따르지 않자 요율을 검증하는 보험개발원을 이용해 보험료 인상을 막았다”며 “지난해 초 자동차보험료 인상 당시와 마찬가지로 금융당국이 보험료 인상에 개입해 인상폭과 시기를 통제하는 관행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손보업계는 뒤늦게나마 보험료를 올릴 수 있게 돼 다행이라면서도 역대 최대 영업적자를 메우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입장이다.

지난해 1~11월 자동차보험 영업손실은 1조2938억원을 기록했다. 연간 영업손실은 역대 최대였던 2010년 1조5369억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9개 주요 손보사의 12월 가마감 기준 지난해 연간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평균 98.1%였다.

12월의 경우 이 중 메리츠화재를 제외한 8개 회사의 손해율이 100%를 웃돌았다. 대형사는 현대해상·DB손보(101%), KB손보(100.5%), 삼성화재(100.1%) 순으로 손해율이 높았다.

손해율은 고객으로부터 받은 보험료 대비 지급한 보험금의 비율로, 자동차보험의 적정 손해율은 77~78% 수준이다.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이 같이 상승한 것은 차량 정비요금 인상 등으로 보험금 원가가 상승했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는 국토교통부의 적정 정비요금 공표에 따른 개별 정비업체와의 재계약으로 차량 정비요금이 인상됐다.

같은 해 4월부터는 교통사고 후유증 치료에 많이 활용되는 한방 추나요법이 급여 항목으로 분류돼 건강보험이 적용됐다. 5월부터는 자동차사고 피해자의 취업가능연한을 65세로 상향 조정하는 자동차보험 표준약관 개정안이 시행됐다.

이에 따라 손보사들은 지난해 1월과 6월 두 차례 보험료를 인상했으나, 인상분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

한 손보사 관계자는 “손해율 상승으로 적자가 쌓이는 상황에서 지금이라도 보험료를 올릴 수 있게 돼 다행”이라면서도 “보험료 인상률이 당초 제시했던 것보다 낮아져 손실을 메우는데 한계가 있다”고 전했다.

뉴스웨이 장기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