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한전, 3분기 영업익 1조2392억원···1년만에 흑자 전환

한전, 3분기 영업익 1조2392억원···1년만에 흑자 전환

등록 2019.11.13 15:48

주혜린

  기자

공유

1년 전 대비 전기판매 수익 감소···시장전망치는 하회원전 이용률 65.2%로 급락···“4분기 불확실성 가중“

한전, 3분기 영업익 1조2392억원···1년만에 흑자 전환 기사의 사진

한국전력이 작년 4분기 이후 1년 만에 흑자로 돌아섰다. 여름철 전기 판매단가가 상승하고 판매량이 늘어난 게 영양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한전은 올 3분기(7∼9월)에 매출 15조9122억원에 영업이익 1조2392억원을 올렸다고 13일 밝혔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16조4098억원)보다 3.0% 줄었으나 전분기(13조709억원)보다는 21.7% 늘었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1조3952억원)보다 11.2%나 줄었다. 3분기 당기순이익은 2410억원으로, 전년동기(7372억원)보다 무려 67.3%나 감소했다.

이로써 올해 3분기까지 매출 44조2316억원과 영업이익 3107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45조4530억원·5804억원)보다 각각 2.7%와 46.5% 줄어들었다.

한전은 지난해 4분기(-7885억원)와 올 1분기(-6299억원)·2분기(-2986억원)에 잇따라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한전은 여름철 전기 판매단가가 상승하고 판매량도 늘어난 게 주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더해 국제유가 하락으로 발전용 LNG 가격이 내려간 데 힘입어 발전자회사의 연료비가 줄어든 것도 호재로 작용했다고 전했다.

다만 전기판매 수익은 15조213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 줄어들면서 기대에 못 미쳤다. 지난해 여름보다 폭염 일수가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전기 판매량은 전체적으로 2.5% 줄어든 가운데 주택용이 4.9%나 줄었고, 일반용(-2.4%)과 산업용(-1.6%), 교육용(-4.0%)도 모두 감소했다. 농사용(0.7%)만 증가했다.

원전 이용률은 65.2%에 그치면서 1년 전(73.2%)보다 큰 폭으로 떨어졌다.

또 신규 발전소 준공과 송전선로 신·증설 등에 따른 전력 설비 투자로 인해 감가상각비와 수선유지비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2000억원이나 늘었다.

올 4분기는 유가와 유연탄가 등 연료가격 하락이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미중 무역분쟁 등에 따른 환율상승 등 대내외 경영환경 불확실성이 확대될 것으로 한전은 전망했다.

한전 관계자는 “경영환경 변화 요인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설비안전을 강화하면서 신기술 적용과 공사비 절감 등 재무 개선을 꾸준히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주혜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