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식약처 “국내산 살충제 계란, 인체 유해 수준 독성 없어”

식약처 “국내산 살충제 계란, 인체 유해 수준 독성 없어”

등록 2017.08.21 15:07

최홍기

  기자

공유

살충제 계란을 폐기하는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제공)살충제 계란을 폐기하는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내산 살충제 계란이 인체에 해를 가할 정도의 독성을 함유하지 않았다고 21일 발표했다. 산란계에 사용이 금지된 피프로닐에 오염된 계란을 성인이 평생 매일 2.6개씩 먹어도 건강에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최성락 식품의약품안전처 차장은 “국민 중에서 계란을 가장 많이 먹는 상위 2.5%가 살충제 최대 검출 계란을 섭취한다는 최악의 조건을 설정해 실시한 살충제 5종의 위해평가에서 건강에 큰 우려가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전국 산란계 농장 전수조사에서 검출된 살충제는 피프로닐과 비펜트린, 플루페녹수론, 에톡사졸, 피리다벤 등 5종이다.

현재 우리나라 국민 계란 섭취량은 하루 평균 0.46개(27.5g)이며, 연령대별 극단섭취량은 1~2세는 2.1개(123.4g), 3~6세는 2.2개(130.3g), 20~64세는 3개(181.8g)다.

전수조사 살충제 검출량은 피프로닐(0.0036~0.0763ppm), 비펜트린(0.015~0.272ppm), 에톡사졸(0.01ppm), 플루페녹수론(0.0077~0.028ppm), 피리다벤(0.009ppm)이다.

피프로닐은 계란 극단섭취자가 피프로닐이 최대로 검출(0.0763ppm)된 계란을 섭취했다고 가정했을 때 위험 한계값(ARfD:급성독성참고량)의 2.39%~8.54% 수준으로 건강에 해를 끼칠 위험은 거의 없었다. ARfD는 24시간 이내 또는 1회 섭취해 건강상 해를 끼치지 않는 양을 뜻하는데 100% 미만일 경우에는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한다.

식약처는 “성인 기준 피프로닐에 최대로 오염된 계란을 하루동안 126개까지 먹어도 위해하지 않다”며 “평생동안 매일 2.6개씩 먹어도 건강에 큰 문제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비펜트린은 극단섭취자의 경우 ARfD가 최대 7.66%~27.41% 수준이었다. 최대로 오염된 계란을 1~2세는 7개, 3~6세는 11개, 성인은 39개까지 먹어도 위해하지 않은 수준이다.

피리다벤은 극단섭취자 기준 ARfD가 최대 0.05%~0.18% 수준이었다.

에톡사졸과 플루페녹수론은 국내·외에서 급성독성이 낮아 급성독성참고치 설정이 필요하지 않은 살충제로 정해져 있다고 덧붙였다.

식약처는 친환경 인증 농장에서 잔류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된 디클로로디페닐트라클로로에탄(DDT), 클로르페나피르, 테트라코나졸 등 3종에 대해서는 추가로 위해평가를 할 계획이다.

뉴스웨이 최홍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