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이건희·이재용 공백 장기화로 삼성시계 암흑

이건희·이재용 공백 장기화로 삼성시계 암흑

등록 2017.05.11 01:00

강길홍

  기자

공유

이건희 회장 심근경색 와병 3년째이재용 부회장도 구속기소 3개월째사상초유로 父子가 동시에 경영공백삼성 장기전략 수립 어려움 불가피

사진=연합뉴스 제공사진=연합뉴스 제공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급성 심근경색으로 쓰러진지 3년째다. 이 회장의 와병 이후 삼성그룹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경영 공백을 메우며 강도 높은 변화와 혁신을 추구했다.

하지만 이 부회장마저 지난 2월 구속되면서 삼성그룹의 총수 자리는 3개월째 공백 상태다. 사상초유의 부자 동시 공백으로 삼성그룹의 경영 시계는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암흑 상황이다.

11일은 이 회장이 병상에 누운 지 만 3년이 되는 날이다. 이 회장은 지난 2014년 5월10일 밤 급성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자택 인근 순천향대병원에서 응급조치를 받고 다음 날 새벽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했다.

삼성 측은 이 회장의 현재 건강상태에 대해서 말을 아끼고 있는 가운데 기존 상태에서 특별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015년 6월 한 매체는 이 회장이 병실에 누워 자가 호흡을 하고 있는 모습을 포착해 보도한 바 있다.

이 회장의 갑작스러운 입원에도 불구하고 삼성그룹이 지금까지 흔들림 없는 경영을 이어올 수 있었던 것은 이 부회장이 사실상의 총수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이 회장은 입원하기 전에도 해외에서 장기 체류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때마다 이 부회장은 아버지의 빈자리를 대신하며 리더십을 시험받았다.

이 회장의 입원 뒤 이 부회장은 본격적으로 총수 역할을 하며 삼성의 사업구조 재편을 진두지휘했다. 특히 한화그룹과의 빅딜,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합병, 하만 인수 등 굵직한 경영 결단을 내리면서 주목을 받았다.

또한 이 부회장은 갤럭시노트7 사태로 최대 위기를 맞았지만 이를 잘 수습하며 위기관리 능력도 보여줬다. 갤럭시노트7의 교훈을 바탕으로 착실히 준비한 갤럭시S8은 삼성전자 스마트폰 사업을 다시 한번 끌어올리고 있다.

하지만 이 부회장은 ‘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결국 구속되면서 삼성그룹은 결국 총수공백 사태에 빠지게 됐다. 이 회장이 쓰러졌을 때는 이 부회장이 대체할 수 있었지만 이번에는 대체 불가능한 위기다.

이 부회장은 박근혜-최순실 측에 뇌물을 제공하고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도움을 받기로 한 혐의로 기소됐다. 미르·K스포츠재단에 출연기금 등이 뇌물액으로 산정됐다. 하지만 출연기업 총수 중에서 유일하게 구속돼 논란이 됐다.

이 부회장 측은 무죄를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현재 1심 재판이 진행 중이다. 당초 이 부회장에 대한 1심 선고는 5월 중으로 나올 것으로 예상됐지만 재판 일정이 길어지면서 8월까지 늦춰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뇌물을 받은 혐의로 기소된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재판과 이 부회장의 재판이 맞물리게 되면 재판 일정은 물론 결과도 쉽게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된다. 삼성으로서는 총수 공백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더욱 장기화될 수 있다는 의미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선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재벌의 중대 경제범죄에 대해서는 ‘무관용 원칙’을 강조하고 있는 점도 삼성으로서는 부담스럽다. 문 대통령은 대통령의 사면권을 제한하고 법정형을 높여 집행유예가 불가능하도록 하겠다고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당초 재계에서는 이 부회장이 빠르면 5월 중에는 경영에 복귀할 수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점쳤지만 현재로써는 어는 것 하나 쉽게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삼성그룹은 이 부회장이 구속기소된 직후에 미래전략실을 해체하고 계열사 자율경영에 나서고 있지만 임시방편일 뿐이다. 삼성그룹은 내부에서 벌써부터 계열사간 업무 조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이 회장과 이 부회장이 동시에 경영공백 상태에 놓인 삼성그룹의 성장동력 약화도 우려된다. 특히 당분간 대규모 인수합병(M&A)를 추진하기가 어렵게 되는 것은 물론 적기 투자기회를 놓치게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재계 관계자는 “이건희 회장에 이어 이재용 부회장의 공백도 장기화된다면 삼성그룹의 장기경영전략 수립이 어려워질 것”이라며 “치열한 글로벌 경쟁 속에서 삼성만 제자리걸음을 하게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강길홍 기자

ad

댓글